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천 판소리의 전승실상과 특징 (Characteristic and Transmission State of Suncheon Panso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순천 판소리의 전승실상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27호 / 185 ~ 214페이지
    · 저자명 : 표인주

    초록

    순천 판소리의 역사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순천 판소리의 전승실상을 파악해보고, 그것을 토대로 전승적인 특징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먼저 순천 판소리의 형성과 발전에는 ①순천은 15세기 초에 순천도호부로서 정치군사적 중심지이었다는 점, ②순천은 장시가 발전한 경제적인 유통공간이었다는 점, ③순천에서 활동한 신청과 권번이라는 민속예술적인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는 점, ④순천이 전남 동부지역의 교육적 중심공간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 등 역사문화적 배경이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을 토대로 순천 판소리의 전승 실상을 ①순천 판소리 초창기의 오끗준과 김질엽, ②순천 판소리 형성에서 송만갑의 역할, ③박봉술과 소리선생, ④순천 판소리 계승자로서 소리꾼으로 나눌 수 있다.
    순천 초창기의 판소리를 오끗준과 김질엽을 중심으로 보면 동편제 소리로서 <춘향가>와 <수궁가>가 널리 불리어졌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의 소리를 계승하는 제자들이 불분명하여 그 음악적인 실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그래서 순천 판소리의 면모는 송만갑의 역할을 통해서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송만갑은 많을 제자를 배출했지만, 순천과 인연을 맺고 있는 명창으로 가야금병창 오태석을 비롯해 박초월ㆍ김연수ㆍ박봉술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송만갑을 중심으로 송문 일가의 판소리를 계승하고 있다. 오태석은 20세 무렵 1918년부터 1921년경에 낙안에 머물렀던 송만갑에게 판소리를 익혔고, 박초월은 <춘향가>ㆍ<흥보가>ㆍ<심청가>를, 김연수는 <흥보가>와 <심청가> 전편을 송만갑에게 배웠다. 특히 김연수는 순천에서 동편제를 익혔고, 박봉술과 창극단활동을 하면서 순천 판소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송만갑 못지않게 순천 판소리 발전에 기여한 소리꾼으로 박봉술인데, 순천에 정착한 것은 해방 후로 알려져 있고, 1953년부터 1958년까지 순천국악원의 소리선생으로 있으면서 성창열ㆍ선동옥ㆍ박정례 등을 배출했으며, 순천지역을 중심으로 순흥극단을 조직하여 주광덕ㆍ공기남ㆍ배금찬ㆍ박정례ㆍ선농월ㆍ박향ㆍ성창렬ㆍ성옥란 등과 함께 활동하기도 했다. 박봉술은 박정례를 중심으로 성창렬ㆍ선동옥ㆍ선농월 등의 제자들을 배출하여 순천 판소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순천 판소리는 송흥록ㆍ송만갑ㆍ박봉술을 중심으로 계승되고 있지만, 서편제와 보성제의 소리가 혼합되어 계승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동편제 소리의 계승은 송순섭ㆍ김향순ㆍ주순자ㆍ성판수ㆍ박미홍ㆍ김영애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편제와 보성제가 혼합된 판소리는 전옥순ㆍ염금향ㆍ황철환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보성소리는 김몽석과 주순자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순천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순천 출신으로 보성소리를 계승하고 있는 소리꾼으로 주소연과 박지윤을 들 수 있다.
    순천 판소리의 특징을 창자와 유파, 그리고 텍스트 계승이라는 차원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먼저 판소리 창자 및 유파에 따른 특징으로, 동편제는 송흥록-박만순-오끗준의 계열과 송흥록-송광록-송우룡의 계열이 있고, 송우룡 계열은 다시 송우룡-송만갑 계열과 송우룡-유성준의 계열로 나누어진다. 보성제는 정응민-성우향의 계열이 있지만, 순천 지역 출신의 명창들은 거의 대부분 동편제 창법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순천에는 동편제가 중심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보성제의 전승도 확대되고 있는데, 본격적인 전승은 염금향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순천 판소리의 특징을 텍스트 계승에 나타난 것을 토대로 파악할 수 있는데, 순천 판소리는 동편제 소리로서 송만갑의 <춘향가>ㆍ<적벽가>와 유성준의 <수궁가>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순천에서 송만갑과 유성준의 소리를 모두 수용하고 있는 명창이 박봉술이기 때문에 <적벽가>가 대표작인 그를 순천을 대표할 수 있는 소리꾼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the truth that the background of folk arts in Suncheon and the fact that Suncheon was the center of politics, the military, economic distribution and education had a huge effect on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the Suncheon Pansori.
    The transmission state of Suncheon Pansori is divided into four parts: O Kkeut Jun and Kim Jil Ueop were prelavent in the early Suncheon Pansori; the role of Song Man Gab in the advent of Suncheon Pansori; and Park Bong Sul and Sori-Sunsaeng and singer as successor of Suncheon Pansori. Suncheon Pansori was succeeded mainly by Song Heung Rok, Song Man Gab and Park Bong Sul but also by a combination of Sopyonje and Boseongje.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Dongpyonje has two lines of Song Heung Rok - Park Man Sun-O Kkeut Jun and Song Heung Rok. The Song Gwang Rok-Song Woo Ryong and Song Woo Ryong line is separated into the Song Woo Ryong- Song Man Gab line and the Song Woo Ryong-U Seong Jun line.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Boseongje has the Jeong Eung Min-Seong Woo Hyang line but almost all master singers from Suncheon follow the singing style of Dongpyonje.
    Suncheon Pansori is Sori of Dongpyonje and the representative songs are <Chunhyangga> and < Jeokbyeokga > by Song Man Gab and < Sugungga> by U Seong Jun. It is possible to say that Park Bong Sul is the representative Master singer of Pansori in Suncheon because he accepts both the Sori of Song Man Gab and U Seong J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