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양지역의 판소리문화 자산 (Cultural Assets of Pansori in the Damyang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4.11
35P 미리보기
담양지역의 판소리문화 자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5호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석배

    초록

    주지하듯이 전라남도 담양지역은 20세기 전반기까지만 하더라도 판소리문화가 융성했던 곳이다. 그러나 세상이 바뀌면서 지금은 겨우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 점에 주목하며, 본고에서는 한때 담양지역에서 융성했던 판소리문화 자산 전반에 대해 두루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핀 바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양지역의 판소리 명창들을 두루 살펴보았다. 19세기에는 전기팔명창의 한 사람인 주덕기와 후기팔명창의 한 사람인 이날치 등이 등장하여 판소리 애호가들을 울리고 웃기며 그들과 삶의 애환을 함께했다. 그리고 20세기 전반기에는 조학진, 한성태, 박동실 등이 등장하여 소리판을풍요롭게 했는데, 특히 박동실은 판소리 전승과 교육을 통해 판소리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둘째, 담양지역에서 판소리를 전승ㆍ교육하던 공간인 국채웅의 우송당과 박석기의 지실초당, 비실재의 재각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채웅은 담양의 거부로 1920년대 후반에 우송당을 지어 한주환, 박봉래, 박동실 등 전통예술인들을 후원하였는데, 특히 박동실은 그곳에서 어린 기생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그리고 박석기는 지실마을에 초당(草堂)을 짓고 박동실을 초빙하여 전통예술을 가르쳤다.
    박동실은 이곳에서 다음 세대의 판소리를 이어갈 김소희, 한애순, 박후성 등 뛰어난 동량들을 길러내었다. 한편 비실재에서는 박영실과 박후성이 판소리를 가르쳤는데, 이때 공대일, 김동준, 주광득등이 함께 공부하였다.
    셋째, 박동실의 심청가와 <열사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박동실은 판소리 다섯 바탕에 모두 뛰어났는데, 그의 소리는 김소희, 한애순, 박후성, 한승호, 장월중선 등으로 전승되었다. 그런데 현재는심청가와 <열사가>만 정순임에 의해 제대로 전승되고 있다.
    서편제 판소리도 우리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이므로 그것을 지키고 가꾸어 후대에 물려주어야마땅하다. 그런 점에서 담양소리에 주목하고, 그것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획기적인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is well-known, Pansori culture flourished in the Damyang Area of Cheonnam Province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wever,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changing circumstances, Pansori culture now has been weakened severely.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nsori culture that thrived once in Damyang Area.
    This study is to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nsori singers in Damyang Area were investigated. Joo Deokgi, one of the ex-ante 8 Pansori singers, and Lee Nalchi, one of the post 8 Pansori singers, appeared and made Pansori fans cry and smile, and comforted their joys and sorrows. In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Jo Hakjin, Han Seongtae, Park Dongsil appeared and made Pansori world thrive. Especially, Park Dongsil contributed greatly to Pansori development through Pansori education and transmission to the future generation.
    Second, Gook Chaeoong’s Usongdang, Park Seokgi’s Jisilchodang and Jaegak in Bisiljae that taught Pansori in Damyang Area were examined. Gook Chaeoong was a millionaire in Damyang, and built Usongdang at the latter part of the 1920’s and sponsored traditional artists such as Han Joohwan, Park Bongrae, Park Dongsil and so forth. Especially, Park Dongsil taught many young kisaeng there. Park Seokgi built Jisilchodang, and invited Park Dongsil to teach Korean traditional arts. Here Park Dongsil taught outstanding Pansori singers such as Kim Sohui, Han Aesoon, Park Hooseong, and so forth, who were to inherit Pansori. Park Yeongsil and Park Hooseong taught Pansori at Bisiljae, where Gong Daeil, Kim Dongjoon, Joo Gwangdeuk were taught Pansori by them.
    Third, Park Dongsil’s Shimcheongga and Yeolsaga were explored. Park Dongsil was distinguished in Five Batang. His Pansori was passed down to Gim Sohui, Han Aesoon, Park Hooseong, Han Seungho, Jang Woljoongseon, etc., but only Shimcheongga and Yeolsaga are entirely transmitted by Jeong Soonim.
    Seopyeonje is one of our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we have to keep, grow and pass down to future generation. It is crucial to focus on Damyang-sori, and find ways to keep it and transfer it to future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