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광대의 호흡법 연구 (Study on Pansori performer's breath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09.10
48P 미리보기
판소리 광대의 호흡법 연구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판소리 광대의 독특한 호흡 기술을 심층적으로 분석
    • 🧘 전통 음악의 호흡 원리와 발성 메커니즘을 상세히 설명
    • 🔬 학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28호 / 27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정태

    초록

    판소리 예술의 깊은 내면세계와 미학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음악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판소리의 음악적 측면 즉, 성악(聲樂)의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판소리 광대의 호흡법과 발성법의 연구가 먼저 깊이 있게 연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판소리 광대의 호흡을 이해하고자 호흡의 원리와 좋은 호흡의 요건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판소리 광대의 호흡의 응용에서는 호흡과 발성, 호흡과 장단, 호흡과 공력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판소리 광대가 갖춰야 할 좋은 호흡의 요건은 짧은 순간에 깊게 들이마시고 길게 내쉴 수 있는 호흡, 적은 양의 숨으로 맑고 우렁찬 소리를 낼 수 있는 호흡, 일정량의 숨을 골반에 머금어서 호흡을 지탱하고 조절할 수 있는 호흡이어야 한다.
    판소리 광대의 호흡은 발성의 에너지이자 핵심요소이다. 판소리 광대의 호흡은 단전에 기(氣)를 모아 그 힘을 바탕으로 발성한다. 호흡의 응용 없이 소리만 크게 지르다 보면 성대가 상하여 음색이 어두워지며, 소리가 모아지지 않아 퍼진 소리가 되기 쉽다. 호흡으로 소리하게 되면 성대의 부담을 덜어주게 되어 소리가 맑아진다.
    호흡으로 소리하는 것은 호흡의 에너지를 소리에너지로 바꾸는 것이다. 즉, 호흡 위에 소리를 실어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과 목, 어깨의 힘을 빼고 목구멍(咽喉)이 활짝 열려서 숨이 자유자재로 드나드는 상태여야 한다. 이때 들이마신 공기의 압력으로 배(腹)를 쳐서 그 공명이 척추를 지나 후두를 통해서 발성된다. 호흡으로 소리하는 구체적인 증거는 목구멍소리(喉音)인 ‘ㅎ’과 모음소리가 결합된 ‘하/후/호/허/흐/히’ 같은 소리가 발성되거나 목을 열고 발음하는 모음인 ‘우/오’로 발성되기도 한다.
    판소리 광대의 호흡과 장단은 장단위에 사설을 얹혀 놓는 양상인 붙임새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판소리 장단은 각각의 호흡구조가 있다. 중머리는 기본 호흡의 장단으로 보통 걸음걸이의 빠르기이다. 대개 1박에서 9박까지 소리를 하고 10박에서 12박까지는 숨을 풀어준다. 하지만 10/11/12박에 소리가 있을 때는 3박 이나 5박에서 숨을 쉰다. 진양조장단의 호흡은 크게 두 유형이 있다. 1박에서 4박까지 소리가 진행되고 5․6박은 쉬는 유형과 1박에서 2박까지 소리가 진행되고 숨을 들이마신 후 3박에서 6박까지 소리가 진행되는 유형이 그것이다. 자진머리는 붙임새가 가장 다양한 장단으로 도둑숨을 쉬는 경우가 많다.
    판소리 광대의 호흡과 공력은 단전의 뱃심과 성대조절, 입모양을 통하여 표현된다. 이때의 뱃심은 호흡의 압력으로 소리의 힘을 조절하는 능력이다. 즉, 단전에서 힘을 지탱하는 정도와 성대조절, 입모양이 호흡의 균형을 얼마나 이루느냐에 있다. 아무리 뱃심(공력)이 좋아도 목(발성법)을 쓸 줄 모르면 성음놀음이 어렵고, 또 아무리 목을 쓸 줄 알아도 뱃심이 부족하면 제대로 소리를 하기 어렵다.

    영어초록

    We should conduct many musical studies to find out the inner world and aesthetic value of Pansori, for the bases of which researches on Pansori performer's breathing and vocalization are necessary.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 papers on Pansori performer's breathing and vocalization at this moment.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good conditions of breathing in Pansori.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thing and vocalization, breathing and rhythm, breathing and elaboration in regard with applied breathing.
    The essential conditions of good breathing are to breathe in for a short moment and breathe out a long breath, to make a clear and resonant sound and to maintain and control the breath with a certain amount of air in the pelvis.
    Pansori performer's breathing and vocalization is made based on the power which is concentrated in the lower part of abdomen. Just shouting aloud without understanding of good breathing tends to injure the voice, which makes dark and echoed sound. Breathing is energy and key factor of vocalization.
    Making sound by breathing is to change breath energy to sound energy. In other words, it is to load breath with sound, for which throat should be fully open so that breath comes in and out freely. At this moment the sound is articulated as a glottal sound through the throat over spine by air force in the abdomen. The specific evidence for making a sound by breathing is that sounds such as ‘ha/hu/ho/he/hi/’ is articulated, which are combined with glottal sound ‘h’ and vowels and that ‘u/o’ is articulated with the throat fully open.
    Pansori performer's breathing and rhythm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Buchimsae which is a form of telling story with rhythm. Pansori rhythm has each breathing structure. Jungmuri, which is a rhythm of basic breathing, is as fast as a normal step speed.
    Make sounds 1st beat to 9th beat and release breath 10th beat to 12th beat. But when a sound falls into 10/11/12th beat, release breath at 3rd or 5th beat.
    Pansori performer's breathing and elaboration is expressed depending on the power in the abdomen, controlling the throat and the shape of mouth. The power in abdomen means the ability to control power with the pressure of breath. That is it depends on how well the power is maintained in the abdomen, how well the throat is controlled and how well balanced the shape of mouth keeps. Such relationship between breath and elaboration needs further medical and scientific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