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A Study on the Birth and Change of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10
46P 미리보기
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38호 / 340 ~ 385페이지
    · 저자명 : 최동현

    초록

    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판소리 공연 방식의 하나로 자리잡은 완창은 판소리사의 초기부터 있었던 공연 방식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판소리의 서사적구조, 당시의 공연 관습이나 장소 등을 통해서 짐작할 수 있다.
    근대적인 판소리 공연은 서양식 무대에서 시작된 이른바 ‘협률사’ 공연이었다. 처음에 이 공연 방식은 장안사나 광무대와 같은 극장 무대에 여러 명의남녀 소리꾼이 동시에 출연하여 일부분씩 부르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명창대회’라는 것이 등장한다. 명창대회의 장소는 극장인데 한꺼번에 여러명창들이 출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명창대회는 협률사 이후 계속된극장식 공연으로 다수의 다양한 종목의 창자들이 출연하는 옴니버스 공연 형태였다.
    몇몇 증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해방 후의 공연 상황은 다음과 같다. 우선공연장은 가설 무대나 극장, 혹은 창고였지만 근본적으로는 프로시니엄 무대였다는 것, 1부와 2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승무, 병창 혹은 기악, 토막 판소리,잡가, 대가의 판소리 등을 부르고, 2부에서는 단막극이나 남도잡가를 불렀다는것이다. 해방 후의 협률사식 공연은 이처럼 거의 유형화되어 있었다. 판소리창자들은 자기가 잘하는 대목을 항상 부르니까 다 잘 부를 수밖에 없었지만,날마다 반복되는 공연의 청중들은 매번 달라지므로 공연 종목 또한 바꿀 필요가없었다. 그래서 판소리는 이제 토막소리밖에는 부르지 않게 되었다.
    1960년대 들어 판소리는 절멸의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동진은1968년 9월 30일 판소리 완창을 창안한다. 박동진에 의해 창안된 판소리 완창은멸실 위기에 처한 판소리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완창에서 판소리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였고, 소리꾼들도 희망을 가지고너도나도 완창을 시도하였다. 이는 판소리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
    판소리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발맞춰 뿌리깊은나무사에서 시도한 판소리감상회는, 완창은 아니지만 전판 공연을 함으로써 잃어버렸던 온전한 판소리작품의 복원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 후 판소리 완창은 소리꾼이라면응당 거쳐야 할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이를 대표하는 것이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발표회이다. 국림극장 완창 판소리 발표회는 1985년 3월 30일 성창순의<심청가>로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 31일까지 총 255회를 공연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판소리 완창은 얼마나 어린 나이에, 얼마나 긴시간을 부르는가를 다투는 기록 경쟁처럼 되어 버렸다. 당연히 판소리 완창의효용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창자들에게는 전판을 한 자리에서 공연할 수 있는공력을 닦게 하고, 판소리 경연대회나 판소리 공연의 양상을 바꾸어 놓았으며,수많은 명창과 명고수, 귀명창이 탄생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본래의 공연 방식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창에 집착하다보니 예술성은 망각되고 공연자의 나이와 공연 시간이 관심의 주된 대상이 되어 버렸다. 전통 판소리는 사적인 공간에서 시간 제약 없이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판소리가 한 자리에서 다 부르기에는 너무 긴 것도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공적인 공간에서 한 번에 다 부르려다보니자연히 여러 가지 문제를 노정하게 되었다.
    판소리 완창은 이제 그 형식의 변화를 꾀할 때가 되었다. 소리꾼이나 고수나청중이나 편안한 가운데 판소리의 예술성을 최고도로 발휘하고 음미할 수 있는새로운 완창의 양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것은 판소리 본연의 특성을 회복하는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대 판소리는 전통 시대와는 다른 환경에 놓여 있다.
    따라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만 한다. 단속적(斷續的) 완창이 그 대안이 될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birth and change of pansori fullversion singing performance(완창).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The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of pansori was not original style of pansoriperformance. That could be easily assumed by the structure, performanceconventions and performance place of pansori. Major pansori performances fromformative period to the end 19th century were partial pansori singing performance(부분창). And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was secondary.
    The modern pansori performance started on the western style theater calledHyeomryulsa(협률사) in 1902. The partial pansori singing was performed onthat stage. The western style performance could not accept the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The full version of pansori. is too long to perform at onceon one stage. S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lmost of all pansoriperformance was partial singing performance, which was performed in westernstyle theater with other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We can call it an omnibusperformance.
    Around 1960's, pansori. was at the brink of death. Because the audience ofpansori were continually decreasing on the one hand, and the singer who cansing a full version pansori became sparse on the other hand. In 1968, Bak Dong-jintried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It won a great success. It broughtabout a sensational attention. After that performance many full version pansorisinging performance were designed like as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Pansori Concert,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 Full VersionConcert, etc.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 Pansori Concert contributedto reestablish the full version pansori.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Full Version Concert started in 1984. It has won the most authoritative full versionpansori concert for 30 years.
    In the middle of 1990's,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changed.
    The age of the singers became younger and younger. At last, the elementaryschoolchildren comprised the most part of that performance. So, many peopleclaim that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should be changed.
    In this study I suggested a serial singing performance as an alternative. Itwould be the true to the nature of pansori and make pansori performance moreartis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