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Old and New Style of Pansori Epic Cha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3.04
58P 미리보기
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55호 / 103 ~ 160페이지
    · 저자명 : 배연형

    초록

    판소리 유파는 정노식이 제시한 이론을 수용하고 있다. 유파는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구분하거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정노식은 판소리의큰 갈래를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로 구분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의유파라는 개념이 등장하지 않고, 개인적인 특징을 간단하게 지적하는 정도에그친다. 개화기 이후 신분사회가 해체되고, 근대식 극장과 기생조합이 설립되면서 판소리는 전면적인 재편 과정을 거쳤다. 극장이 건립되면서 판소리는 대중화되었고, 1917년 권번제도가 도입되면서 여성화가 가속되었다. 판소리 변화의요인으로는 극장의 설립, 철도의 발달, 권번제도의 도입 등이 있다. 1920년이전에 여성 판소리 명창은 대부분 경부선(1905)이 개통된 영남지방에서 상경하였다.
    사회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남성 위주의 전통적인 옛날식 고조 판소리와대중화・여성화된 신조 판소리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1930년대로 접어들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특히 권번 중심으로 활동하던 여성명창들은 판소리와 잡가(민요)를 함께 불렀으므로 서로 음악적인 섞임이 일어나판소리 역시 잡가의 음악적 요소가 많이 가미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제와신제 소리는 차이는 더욱 크게 벌어졌다. 판소리는 극장이나 권번에서 대부분짧은 도막소리로 불리면서 대중가요와 같은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유성기음반에 취입된 짧은 판소리는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누렸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옛날식 소리와 새로운 소리로 인식되었다. 나중에는 남성중심의 씩씩한 발성의 전통적인 판소리와 여성 중심의 섬세하고 서정적인 표현이 강조되는 판소리로 구분되면서, 새로운 소리에 대한 부정적인 비판이 따랐다.
    1930년대 이후에 활동하기 시작한 새로운 세대는 남녀의 구분 없이 대중화・잡가화・가요화・계면화된 판소리를 부르기 시작했다. 고조와 신조의 차이는 음악적인 차이로 인식되면서 동조와 서조라는 개념을 낳게 되었다. 이것이 나중에는 고조의 영향을 받은 초기 영남출신 여류명창과 1930년대 이후 신조의 영향을받은 호남출신 명창들의 서울로 진출하면서 정노식은 이것을 지역적인 차이로 인식하여 동편과 서편이라는 용어를 만들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theory suggested by Pansori style Jeong No-sik accepts Pansori style is an important concept for distinguishing musical characteristics or understanding history. Jeong No-sik divides the big branches of Pansori into Eastern, Western, and Old Style (Junggojae). In th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Pansori style did not appear, but only simply highlighted personal characteristics.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social status society was dismantled and modern theater and Kwenbean music schools were established, and Pansori underwent a complete reorganization process. Pansori became popular with the entrance of the theater, and feminization acceler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wenbean music school in 1917. Factors in the change in Pansori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theaters, the development of railroads, and the introduction of Kwenbean music schools. Before 1920, most female Pansori singers came to Seoul from the Yeongnam region where the Seoul-Busan railroad (1905) was opened.
    As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ale-oriented traditional Old Style Pansori and popularized and feminized New Style Pansori, and this trend accelerated further in the 1930s. In particular, female singers who were active in Kwenbean music schools sang Pansori and folk song (Japga), so there was a musical mix between them, and Pansori also added many musical elements of Japga, a lyrical song. Over time, the difference between Old and New Style increased. Pansori was mostly sung as a short song in theaters and Kwenbean music schools, and it became like a popular song; short Pansori recorded on 78rpm disks enjoyed great popularity with the public. To illustrate this change, it was initially recognized as Old Style and New Style. Negative criticism of the new sound later followed as it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Pansori with male-centered sonorous voice and Pansori with female-centered delicate and lyrical expressions emphasized. The new generation, which began to be active after the 1930s, began to sing popularized, folk song style, and Kyemuon style Pansori regardless of gender.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ld and new styles was recognized as a musical difference, the directional concept of east and west music styles was created. Later, as it advanced to Seoul via female singers from the early Yeongnam region influenced by Old Style and singers from Honam region influenced by the New Style after the 1930s, Jeong No-sik recognized this as a regional difference and coined the term east and w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