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당의 판소리 담론 (A Discourse on the P'ansori Music by Dr. Lee Hye-k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만당의 판소리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5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숙

    초록

    이 글은 만당 이혜구(1909-2010)가 남긴 판소리 관련 연구에 대해 (1) 판소리의 기원과 발생설 (2) 판소리 12마당에 관한 논의 (3) 단가 (4) 판소리 구조에 대한 분석틀로서의 체계이론 (5) 판소리에 관련된 미학적 소견, 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그 연구 업적을 정리하고 학문적 의의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만당은 일찍이 5명창을 비롯하여 수많은 판소리 명창을 직접 대하고 그 음악을 섭렵함으로써 판소리에 대한 안목과 식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정해소지」, 「갑신완문」 등의 희귀 문서를 직접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함으로써 판소리 연구의 중요한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관우희」와 같은 판소리 관련 연희시를 처음으로 소개하여 판소리 연구의 기초를 확립했다.
    판소리의 기원에 대해 만당은 무가기원설을 따르면서도 창우집단의 광대소리에 주목하여 판소리의 발생을 유추한 바 있다. 창우집단의 광대소리 기원설은 이후 이보형을 통해 음악적으로 논증됨으로써 판소리 발생설의 하나로 전개되고 있다. 만당은 특히 문헌연구를 통해 판소리의 발생 이후 시대적 변천에 대해서 탁월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12마당의 성격과 변천에 대해 밝혀 놓았으며, 특히 과거 놀이문화 속에 보이는 ‘영산’이 오늘날의 판소리 단가에 해당하는 갈래임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만당의 판소리 연구는 현장음악으로서의 음악의 분석과 문헌을 통한 역사적 접근을 결합하고자 한 것이었다. 만당은 이와 같은 판소리 음악의 구조와 체계 이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판소리의 미’를 밝히고자 했다.
    만당이 남긴 판소리 연구의 성과는 그의 전체 학문적 업적으로 볼 때 미미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만당이 제시하고 그로 인해 형성된 판소리 연구의 방향과 주요한 담론들, 그리고 희귀 자료는 여전히 판소리 연구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뚜렷한 이정표로 남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achievement, as well as the academic significance on p'ansori 판소리 music by Mandang 晩堂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which is divided into five themes: first, origin and genesis of p'ansori; second, discussion on p'ansori twelve madang 마당 (repertory); third, tan'ga 短歌 (lit. short song); fourth, systematic thesis as analyzing framework on the structure of p'ansori; and finally aesthetic view of p'ansori.
    It seems that Mandang came to have discerning eyes and insight on p'ansori through getting acquainted with outstanding p'ansori performers like five master singers known as Omyŏngch'ang 五名唱. Furthermore, he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studying p'ansori by introducing theatrical poems which are related to p'ansori, such as kwanuhŭi 觀優戱, literally meaning Viewing the Folk Entertainers' Performance.
    On the matter of the origin of p'ansori, Mandang subscribed to the theory that shaman's song is the very beginning of it, however he also paid attention to kwangdae sori 廣大소리 (songs sung by professional male folk entertainers' group) of ch'angu chiptan 倡優集團 (professional entertainment troupes) to conjecture on the origin of p'ansori. Since then, this theory that p'ansori originated from kwangdae sori of ch'angu chiptan was proven musically by Lee Po-hyŏng 李輔亨 [Yi Po-hyŏng], so that it unfolded as one theory on the origin of p'ansori.
    Particularly, he provided a brilliant point of view as to how p'ansori has evolved since it appeared through research on documentation. H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f the evolution of p'ansori twelve madang, especially proving that Yŏngsan 靈山, which appeared as a leisure time enjoyment, is indeed a branch of tan'ga for p'ansori. His research aims to combine the analysis of 'music as music' at the scene and the historical approach through literature. Ultimately, he reveals 'the aesthetics of p'ansori' through structural and systematic thesis on the p'ansori music.
    In the meantime, the outcome of his research on p'ansori seems to b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sum total of hi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direction of studying p'ansori and the primary discourse formed by his research, as well as rare sources discovered by him, are still leading the main stream of study on p'ansori. It will remain as distinct a guidepost as 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