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 변동과 판소리 (The change of culture and panso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1.04
33P 미리보기
문화 변동과 판소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31호 / 423 ~ 455페이지
    · 저자명 : 최동현

    초록

    이 논문은 판소리의 공연문화의 변동과 판소리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현상을 기술하는 데 그치고자 하였다. 다만 20세기 이후 전체를 아우르던 쇠잔기는 1964년을 기준으로 쇠잔기와 보존기의 둘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기는 판소리의 형성기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제의에서 놀이로 존재했다. 문희연을 비롯한 특별한 행사에 그 행사를 빛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 중 하나로 판소리가 향유되었던 시기였다. 공연장소는 전정이었다.
    두 번째 시기는 전성기로서 1902년까지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중상층의 오락과 유흥에서 노래로 향유되었다. 판소리가 그 자체로 향유되기 시작하면서, 판소리는 예술적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얻은 사람들이 명창으로 이름을 남겼다. 공연장소는 방중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시기는 쇠잔기로서 1902년부터 1964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판소리의 공연장소는 극장이 되었으며, 공연 종목은 창극, 또는 협률사 형태로 다른 공연 종목과 함께 공연되었다. 향유층은 일반 대중이 되었고, 판소리는 흥행 예술이 되어 상품으로 존재했다. 이 시기의 끝에 판소리는 여성국극을 끝으로 판소리는 완전히 몰락하였다. 그리하여 판소리는 상품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네 번째 시기는 보존기로서 국가가 판소리의 보존과 전승에 관여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판소리는 민족문화 유산으로 그 가치가 재발견되어 고급예술이 되었다. 공연장소는 극장이었으나, 완창발표회라는 양식이 도입되어 판소리 단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형식이 유행하였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설립된 기관에서도 판소리와 창극을 공연하였다. 이 시기 청중은 각성된 지식인과 학생이 주류를 이루었고, 원형 유지를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 사진소리가 유행하게 되었다. 각급 교육기관에 판소리 전공을 두어 학생을 가르치게 된 것도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 시기 판소리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무료 혹은 거의 무료로 공연된다는 점이다.
    이제 판소리는 자생력을 완전히 잃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완전히 잃고, 더불어 판소리로부터 감흥을 느낄 수 있는 적극적 향유층도 갖지 못한 판소리가 언제까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 힘입어 생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판소리 관련자들의 대오각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of pansori performance and the pansori itself.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former studies were fully adopted. Therefor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concentrate on the description of being. But the declining period that covers the period from 2,000 to present, will be divided into declining period before 1964 and the preservation period after 1964 in this study.
    The first period is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In this period, the pansori was enjoyed as a play in the rites.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to celebrate the special events for example passing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court.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prosperity. This period is from the end of the first period to 1902. In this period pansori was enjoyed as a song in the middle and upper class's pleasure and amusement. The pansori was highly developed as an art. In this process, many singers became famous as a pansori myeonchang(maestro).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changed from a court to a room.
    The third period is the period of declining. This period is from 1902 to 1964. In this period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in the theater. The major form of performance was the changgeuk(pansori theater) or hyeopryulsa (packag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The class of audience was the mass of people. The pansori became an popular entertainment. And pansori was considered as a goods. At the end of this period the pansori was throughly declined and lost the value of a goods.
    The fourth period is the period of preservation. In this period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pansori. The pansori was reevaluated as a major national cultural asset.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theater. But the form of performance was wanchang (singing a pansori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Many provincial governments established the changgeuk company. So the most of the performance were held for free. The audience of this period were the intellectuals and the students. It is very distinguishing that pansori is taught in many art schools.
    Now the pansori throughly lost the power of self-existing. The pansori is preserved by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But the future of pansori is very uncertain. Because the pansori had lost its value as a goods and there are not so many positive audiences who can feel the emotion of panso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