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택의 창작판소리에 대한 문학적 접근 1 : 담시 판소리를 대상으로 (A literary approach to Lim Jintaek's new pansori 1: On Damsi Pansor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4.10
36P 미리보기
임진택의 창작판소리에 대한 문학적 접근 1 : 담시 판소리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58호 / 179 ~ 21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원

    초록

    이 연구는 임진택의 창작판소리가 보여준 통시적 변화를 문학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임진택의 창작판소리 열두 작품을 담시 판소리, 증언 판소리, 위인 판소리로 구분하였다. 연구 내용으로 표현상의 특징, 이야기세계의 특징, 예술매체로서의 면모 등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우선 담시 판소리를 검토하였다.
    담시 판소리는 임진택이 김지하의 담시를 원작으로 삼아 만든 창작판소리이다. 여기엔 <소리 내력>, <똥바다>, <오적>이 해당한다. 담시 판소리가 지닌 표현상의 특징은 시에서 판소리로 장르가 바뀐 것과 관련이 있다. 시어의 상징성이 약해진 대신 장면들은 생생하게 체험된다. 또한 이야기세계는 다른 판소리에 비하여 모호하게 제시된다. 그렇지만 판소리의 전통적인 표현법은 지켜지고 있다. 가령, 창과 아니리의 기능적 분담이나, 다양한 시점에서의 서술 등이 그러하다.
    담시 판소리는 이야기세계의 현재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이야기세계는 청중이 미처 몰랐던 실제 세계의 일부로 간주된다. 이 이야기세계에서 주인공들은 서로정체는 다르지만 모두 추한 존재로 등장한다. ‘안도’, ‘삼촌대’, ‘오적’은 육체나인간성 또는 공동체성이 파괴되거나 기형화된 존재이다. 그리고 이들이 관여된 사건은 비대칭적으로 전개된다. 악인들은 압도적인 힘을 지녔고, 그 힘의 행사는 악의 승리와 추의 만연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담시 판소리는 이야기세계의 ‘추(醜)’ 로써 경험되거나 표현되는 세계가 실은 현재성을 띠고 있음을 제안한다.
    담시 판소리의 예술적 소통에서 창자는 세계의 추함을 폭로하는 존재이다. 청중은 창자를 매개로 추한 세계를 목격한다. 그리하여 이야기세계의 추는 청중이 있는 현실세계로 침투하여 청중이 의존하던 실제세계의 견고함을 무너뜨린다. 공권력의 권위와 힘으로써 유지되는 평화로운 삶과 세계에 대한 환상을 추의 미학은 탄핵한다. 이로써 청중은 삶과 세계에 대한 정상적인 감각이 무너지는 아득한 체험과 혼란, 즉 기괴미를 체험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achronic changes in Lim Jintaek's new pansori from a literary perspective. Therefore, the 12 works of Lim's new pansori were categorized into Damsi Pansori, Testimony Pansori, and Great Man Pansori. This study focuses on their expressive features, story worlds, and aspects of artistic media.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Damsi Pansori.
    Damsi Pansori is a new pansori created by Lim Jintaek based on Kim Jiha's Damsi. These included <Sorinaeryuk>, <Ddongbada>, and <Ojeok>. The expressive nature of Damsi Pansori is related to the change in genre from poetry to pansori. The symbolism of the poem is weakened, and the scenes are experienced vividly. Additionally, the story world is presented more vaguely than in other pansori. However, traditional expressive methods of pansori have been preserved, such as the division of functions between the song and Aniri and the narration from different viewpoints.
    Damsi Pansori emphasizes the immediacy of the story world so that it is considered a part of the real world that the audience is unaware of. In this story, the main characters are ugly, although they share different identities. "Ando," "Samchondae," and "Ojeok" are destroyed or deformed in terms of their physicality, humanity, or community, and the events they are involved in are asymmetrical. The wicked possess overwhelming power, and the exercise of that power is manifested in the triumph of evil and the prevalence of ugliness. Thus, Damsi Pansori suggests that the world experienced or represented by the “ugliness” of the narrative is present.
    In Damsi Pansori's artistic communication, the singer exposes the world’s ugliness. The audience witnesses the ugly world through the medium of the singer. Thus, the ugliness of the story world penetrates the real world where the audience is. Furthermore, it breaks down the solidity of the real world on which the audience relies. The aesthetics of ugliness impeach the illusion of a peaceful life and a world maintained by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state. Consequently,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uncanny, vague experience and confusion in which the normal sense of life and the world are disrup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