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몽골의 판놀이 연구-고누형 판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f Board Games in Korea and Mongolia -with a focus on the board game in a type of Gonu-)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09.04
36P 미리보기
한국과 몽골의 판놀이 연구-고누형 판놀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8호 / 205 ~ 240페이지
    · 저자명 : 장장식

    초록

    이 글에서 다루는 판놀이(Board game)는 특정 놀이판인 말밭(Board) 위에 각자의 놀이말을 가지고 순번대로 노는 놀이를 가리킨다. 말밭(Board, 말판)과 놀이말(말, 器物)을 필수요소로 하며, 놀이방식에 따라 주사위류(Dice)의 보조도구를 수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판놀이는 위계적 성격에 따라 장기형과 바둑형으로 구분하고, 보조 놀이도구의 유무에 따라 윷놀이형과 바둑형으로 대별되며, 놀이말을 운용하는 놀이방식에 따라 바둑형, 장기형, 바둑장기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판놀이의 여러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는 작위적인 구분이다.
    몽골의 판놀이는 매우 다양한데, 위와 같은 관점에서 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말의 위계적 성격 여부를 기준으로 삼을 때, 몽골의 판놀이는 위계적인 ‘장기형’ 놀이보다 위상적인 ‘바둑형’ 놀이가 많다. 이는 위상성(位相性)을 중시하는 유목문화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가 아닌가 한다.
    둘째, 보조 놀이도구의 유무를 기준으로 삼을 때, 몽골의 판놀이는 두 유형 모두가 두루 존재하며, 보조도구로 동전, 견갑골, 파즈 실 등을 쓴다.
    셋째, 놀이말의 운용 방법에 따라 ‘바둑형’과 ‘바둑장기형’이 두루 공존하나 ‘바둑장기형’이 더 많다.
    몽골의 판놀이 중에서 ‘고누형’ 판놀이는 ‘우물고누형 판놀이’와 ‘참고누형 판놀이’, ‘지르게형 판놀이’ 및 기타 루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우물고누형 판놀이는 우리나라의 <우물고누>와 비견되는 판놀이로 <낙타의 발굽>, <수소 네 마리>가 있다. 이들은 놀이판[말밭]이 같고 놀이방법도 같다. 참고누형 판놀이는 3개의 동심 사각형을 가로, 세로, 대각으로 연결한 말밭을 쓰며, 24개의 목에서 12개씩의 말을 가지고 노는 놀이로서, 몽골에서는 ‘보거인지르게’ 또는 ‘지르게(Jirge)’라 부른다. 이 역시 놀이판의 구조와 놀이방법이 같다. 지르게형 판놀이는 말밭의 생김새와 말의 수가 다르지만 참고누형 판놀이처럼 말을 이동시키면서 ‘지르게’를 만들어 나가는 판놀이를 가리킨다. 이에 해당하는 놀이로 <지르흐(얼룩무늬 다람쥐)>, <고람승 지르게>, <하낭 지르게>가 대표적이다. 루치형 판놀이는 참고누처럼 ‘지르게’를 만들지는 않으나 루치와 유사한 말밭을 이용하여 말을 이동시켜 상대말을 쫓거나 잡는 방식을 취하는 판놀이이다. 이와 같은 판놀이로 <사슴 네 마리>, <산 사슴>, <산과 들의 사슴> 등을 찾을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판놀이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것은 ‘참고누형 판놀이’이다. 참고누는 한국과 몽골의 양국의 양상이 동일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고누판을 새긴 유물 4점이 존재한다.
    황해도 봉천군 원산리 청자가마터(10세기 초)에 발굴된 참고누가 그려진 갑자 1점과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호)에서 수습된 참고누판 1점 및 개성 만월대에서 수습된 참고누판 전돌 2점이다. 이 유물들은 참고누가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가졌고, 단순히 놀이용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참고누는 중국, 인도 등에서 전승되고 있으며, 바빌론 기호라는 이름으로 중근동 여러 나라에서 발견된다. 이런 점을 들어 단순 놀이용이 아닌 특정 의례용이 아닌가 하는 추론을 하게 한다. 이 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판놀이를 새삼 주목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영어초록

    Pannori(board game) in this paper refers to a form of board game place markers on the Board in turn. The Board and markers are essential elements and sometimes a kind of auxiliary tool such as a dice is required. The Board game can be categorized as 'Chess style' and 'Baduk style' in terms of who play the game; as 'Yutnori style' and 'Baduk style' in terms of whether it has an auxiliary tool; as 'Baduk style', 'Chess style' and 'Baduk-Chess style' in terms of how operate the markers. These are fairly intentional categorizing for revealing authentic characteristics of the Board games.
    Board games in Mongolia show very diverse feature. Almost 30 Mongolian Board games in this paper were selected from 「Mongolian Games1」 Following points were drawn out from the research analysis:
    Firstly, from the first standard of the categorization, Mongolian board games tend to be close to 'Baduk style' rather than 'Chess style'.
    Secondly, from the second standard, Mongolian games show two categories by using different auxiliary tools such as coins, turtle-shell pieces, and Paz-strings.
    Thirdly, from the third standard, it shows slightly more 'Baduk-chess style' rather than 'Baduk style' even though it has both features.
    Mongolian 'Gonu style 'board game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ypes:'Umul-gonu style board game', 'Cham-gonu style board game', 'Jireuge style board game' and other tyles. The first type is comparable with our <Umul-gonu>, and has two forms:<Camel's hoofs> and <four bulls>. These games have same methods with same board[markers] format. The second type is called 'Bogeoinjireuge' or 'Jireuge' in Mongolian by using a board with three concentric squares connected vertical, horizontal, and diagonal lines and players usually play 12 markers among 24 ones. These have also same format and methods. Jireuge style has different board pattern and different number of markers but shows similar aspect in transferring the markers on the board. Representing examples are <Jireuheu(brindled squirrel)>, <Goramseung Jireuge>, and <Hanang Jireuge>. Luchi style board game does not make 'Jireuge' units but can use similar way to use markers, chase up the opposite markers, and catch up them. <Four deers>, <Mountain deer>, <deers on mountains and fields> are good examples.
    One of the most noticeable case of board games in Korea and Mongolia is 'Chamgoni style board game'. Chamgonu games reflect similar aspects in both Korea and Mongolia and there are four remains which was carved the Board game on it, in Korea.
    One from Celadon kiln in Weonsan-ni, Bongcheon-gun, Hwanghae province, another from the five-story pagoda in Songnimsa temple(treasure no.189) and other two from Manweoldae, Gaeseong. Those remains commonly prove that Chamgonu nori has relatively long history and might have not been played just for fun.
    Moreover this Cham-gonu nori has been transmitted in China and India and can be found a lot of traces under the title of Babylonian symbols in middle and near eastern countries. All things considered, I assume that this was not a simple game but a specific ritual function. This is the reason why I started my research and generate further suggestion for more systematic examination, and also why this game has drawn awareness from different se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