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성과 창조성의 균형점으로서 한양과 근기지방의 문화지리학적 의미 - 화서학파와 북학파의 활동과 사상적 지향을 중심으로 -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Meaning of Hanyang and Geungi Province as the Equilibrium Point of Traditionality and Creativity - with the Action and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Bukhak-school and th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8.05
38P 미리보기
전통성과 창조성의 균형점으로서 한양과 근기지방의 문화지리학적 의미 - 화서학파와 북학파의 활동과 사상적 지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71호 / 55 ~ 92페이지
    · 저자명 : 엄연석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서울과 근기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사와 문화적 지형을전통성과 창조성의 균형점으로서 한양과 근기지방의 문화지리학적 의미를 화서학파와 북학파의 활동과 사상적 지향을 중심으로 해명하였다. 특히 전통성을 강조하는 화서학파와 창조성을 강조하는 북학파가 지향한 사상적 태도가 ‘한양’이라는 문화공간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하였는가에 대한 상관적 특성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북학파는 인간과 동식물이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리와 영명함, 인(仁)을 내재해 가지고 있다는 사고와 사물[物]을 객관적인 대상으로 인식하고 이를 이용대상물로 삼는 새로운 물론에까지 나아감으로써 새로운 문물을받아들이는 창의적 사고로 나아갈 수 있었다. 북학파 사상의 특색은 그 연원으로서 낙론(洛論) 또는 낙학(洛學) 속에 이미 실용적 경세학적 요소가 농후하게 내포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이론이 환경에 우선하는 환경가능론(또는 문화결정론)적의미를 가지고 있다. 북학파에 있어서 ‘한양’이라는 문화지리적 공간은 자신들의경험주의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외부세계의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면서 외부 문물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창조성이 발현되는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화서학파는 도덕적 가치가 물질적 가치보다 비교 우위에 두는 철학체계를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서양의 수단적이고 도구적인 문물이 백성들의 기욕(嗜慾)을자극하는 폐해를 가지는 것이라고 극력 비판하였다. 여기에서 이미 그들의 철학체계 속에 서양 문질문명을 배격할 수 있는 비판적 이론적 구조가 내포되어 있다. 화서학파에 있어서 ‘한양’의 문화지리적 의미는 자신들의 도덕적 이상론을 실현하기 위하여 유기적으로 소통해야 하는 정치권력의 정점이 소재하는 문화지리적 상징 공간이 된다. 북학파와 화서학파를 종합하는 관점에서 문화 지리적 공간이자 실용적 경제 지리적 공간으로서 ‘한양’은 동도서기론적 입장에서 전통적 도덕과 인륜적 세계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보수적 아성으로서 전통성의 고수와 함께 새로운 사상의 수용을 통한 변화와 개혁, 발전이라는 창조성을 실현하는 중층적 공간이다. 또한 한양은 위의 두 가지 대립적 가치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그 문화지리적 공간으로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한양’이 이러한 양면적 대립 요소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한 것은 이러한 균형의 유지가 국가 전체의 정치적 권력의 중심지이자, 경제적 문화적 권력의 근원으로 ‘한양’의 정체성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clarified the history of thought and cultural topography of Seoul and Geungi Province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meaning of Hanyang and Geungi Province as the equilibrium point of traditionality and creativity- with the action and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Bukhak-school and the Hwaseo-school as the center.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raditional Hwaseo-school and creative Bukhak-school was built and operated in the cultural space of Hanyang.
    Hongdaeyong and Pakjiwon breaked from the idealogical orthodox theory founded on Lichi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suggested the relativistic and empirical Lichi theory.
    They made this idea the foundation on which one could accepted the physical world and science pushfully and positively. Hongdaeyong deduced the thought of Inmulgyun(人 物均) of man and matter are equal from the thought of ‘equivalence of value between man and animals and plants’, the idea that they have involved principle[理], intelligence and benevolence[仁] equally.
    The Hwaseo-school such as Leehangro and Yujunggyo understood the thought of ‘Li and chi are distinctly separate things[理氣決是二物]’ of the Zhouhsi(朱熹) in the axio-logical point of view. Moreover they raised the moral values and contempted object of the material desire by constituting the system of theory of the value-hierarchical and vertical LichiSimseong[理氣心性論] of authentic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this philosophy which postpone material value and private interests to moral value and public welfare, they opposed stubbornly that the Western material and instrumental culture stimulates people appetite.
    As seen as Hanyang at the center, while Bukhak-school forwards in the creative direction by accepting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of the Ching and the West, The Hwaseoschool forwards in the direction protecting traditionality through emphasis of moral substance and conventional morality founding on distinction of Li from chi. To sum up the Bukhak-school and the Hwaseo-school, Hanyang has the meaning that moral and cultural geographical space and practical and economic one have been overlapped. On the one hand with perspective of ‘Eastern ways and Western frames theory[東道西器論]’, Hanyang sticks to traditionality as conservative stronghold in which traditional moral values are protected, on the other hand it tried to realize creativity of change, reform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acceptance of new thought. Summing up, it is maintenance of balance between two conflictual values that Hanyang has the symbolic meaning as moral and culture-geographical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