城山山城 木簡에 보이는 신라의 지방경영과 곡물·인력 관리-城下麥 서식과 本波, 喙의 분석을 중심으로-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the Provinces of Silla as Seen on the Seongsanseong Fortress Wooden Tablets : Focusing on Grai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종래 목간에 보이는 지명의 비정을 중심으로 위치미상이었던 지명을 더 비정할 수 있다. 종래 알려진 것은 榮州郡 浮石面과 順興面, 安東市와 陶山面, 醴泉郡, 義城市과 丹村面, 金城面, 尙州市 沙伐面, 金泉市 開寧面 등의 경북지역, 昌寧郡 昌寧邑 등의 경남지역, 그길고 경주시 중심부다. 새롭게 안동 일직면, 의성의 옥산, 비안, 안계, 단밀, 상주 화서 하송리, 그리고 구미 같은 낙동강 중상류 요지, 풍기, 문경 산양 등 경북 북부 내륙 낙동강 상류역, 옥천 이산 이원리, 괴산 청천, 충주 대소산면 등 소백산맥 이북 지역, 영천, 경주 양북 등 왕경과 그 인근 금호강 유역, 창녕 인근, 청도의 매전과 남안 유호리 등 로 비정할 수 있다.
종래 목간 관련 지명은 낙동강 중상류를 중심으로 하며, 일부 옥천도 들어 있을 것으로 비정했다. 본고에서는 두 걸음 더 나아가, 낙동강 중상류의 본류와 지류 인근의 경북 내륙 중북부가 압도적으로 많고, 죽령과 조령 이북의 남한강 상류에 면한 단양,충주,괴산 청천, 추풍령 이북 보은, 그리고, 경남의 청도, 창녕 등 낙동강 하류지역도 보인다. 이들 지역은 대체로 신라 당대 上州와 下州지역에 해당한다.
성산산성 목간의 지명은 대체로 낙동강 연안와 그 연장권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6세기 말 혹 후반에 국가의 지방 통치와 지배, 물류와 운송에 낙동강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재확인시켜 준다.
城下麥 하찰 서식은 <상위지명(城) + 下 + 麥(곡물) + 수량 + 하위지명 + 인명>을 기본으로 한다. 수량은 인명 뒤 즉 제일 뒤에 오기도 한다. 下는 “아래”란 범용의 뜻이다. 城下麥 서식은 지명 혹 행정구역단위가 긴 경우 활용되었다. 下 위, 즉 문장 머리에 상급지명 주로 城명이 오고, 城 아래 하급 지명, 주로 村명은 뒤 쪽에 배치하였다. 원래 지명과 인명 뒤에 와야할 <麥(곡물) + 수량>을 <상급지명 + 下> 아래로 전진배치한 서식이다. 倒置구문이다. 상급지역과 곡물을 가시적으로 우선파악할 수 있고, 분류정리에 효율적인 궁리였다.
城下麥서식은 甘文城(지금의 김천 개령) 즉 당시 上州였던 甘文州 甘文城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감문을 비롯, 夷津支城(안동 관내 혹 일직), 巴珎兮城(의성 단촌면일까), 小南兮城(상주 화서 하송리)과 鐵山(충주 대소산면)에서 활용되었될 수 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이 활용되고 있었다.
城下麥 서식에서 下아래 오는 곡물은 대부분 麥이며, 간혹 米가 있다. 이들은 성산산성 하찰에 보이는 주요 곡물인 稗는 전혀 오지 않았다. 麥과 米는 稗에 비해 상등곡물이다. 城下麥 서식의 존재는, 신라 국가가 지역 경영에서 麥,米라는 상등곡물과 稗라는 하등곡물을 구별하여 운영하였음 말해준다.
11斗石, 15斗石, 60个石과 같이 당대 石은 용량단위임과 동시에 용기단위이기도 했다. 15斗石은 15斗 용량의 1石, 60个石은 60个 단위의 1石을 의미한다. 당대 米의 1石은 11斗였고, 麥의 1石은 15斗였다. 麥의 石이 60个石, 15斗石, 石과 같이 운용되고 있었다.
石같은 수량이 생략되기도 했는데, 麥,米와 稗의 기본 수량은 1石이었다.
麥과 米의 조달은 上州의 治所였던 甘文城 중심으로 이뤄졌다.
하찰에 보이는 喙와 本波는 신라 왕경 6부이며, 王私는 왕실 內省, 國王 관련을 의미한다. 州治를 중심으로 요지에 국왕과 6부의 관할이거나, 그들의 권리가 설정된 村이 존재했다.
大村, 新村과 같이 각 지역에 체제가 새롭게 편제, 설정되었는데, 이는 新州가 설치되고 州가 개편되는 6세기 중엽경을 上限으로 볼 수 있다.
하찰 등 목간에 보이는 지명은 上州와 下州가 중심이고, 新州의 한강하류나 비열홀주/달홀주 등의 동해안 지역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낙동강 유역 중심으로 상주, 하주가 상호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송부처에서 수신처에 직접 물품을 직송케 하여, 물류에서 오는 낭비를 줄이고 운영상 효율을 도모하였다. 물류와 국가 경영의 중심에 낙동강 水運이 있었다.
영어초록
Place names that have been newly determined include the upper reach of the Nakdonggang River, including Andong Iljik-myeon, Oksan, Bian, Angye, Danmil, Sangju Hwaseo Hasong-ri, main places by middle reach Nakdonggang River such as Gumi, Punggi, and Mungyeong sanyang; Okcheon Iwon-ri, Goesan Cheongcheon, Chungju Daesosamyeon and the regions north of Sobaek Mountain; Yeongcheon, Gyeongju Yangbuk-do, and the vicinity of Geumhogang River. Conventionally, place names related to wooden tablets corresponded to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part of Okcheon was not expected to be included. This paper goes a step further and includes many places surrounding the mainstream and tributaries of the middle and upper reach of Nakdonggang River, as well as the lower reach, such as Danyang, Chungju, Goesan, Cheongcheon, Chupungnyeong, Cheongdo and Changnyeong, Gyeongsangnam-do. These regions generally correspond to Sangju and Haju, i.e.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Silla period. The place names from the Seongsanseong Fortress Wooden Tablets are generally distributed around the riverbank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their extended areas. This confirms that the Nakdonggang Riv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ate's local governance, control,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 the late 6th century. The Seonghamaek城下麥 form consists of ‘upper place name + 下(i.e. Under) + grain + quantity + lower place name + personal name’. Sometimes, ‘quantity’ comes after ‘personal name’, that is, at the end of the sentence, and ‘下’ in that form means ‘lower’. Seonghamaek城下麥, or ‘SHM’ form, was used when personal names or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were long and when ‘grain’ referred to barley or rice. Higher-level place names mostly came at the head of the sentence, while lower-level place names were placed at the end. The form ‘grain + quantity’ usually comes after the ‘high-level place name’, but originally had to be placed after ‘lower place name + personal name’. This syntagm was an efficient device for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high-level areas and grains. The SHM form was used for Gammun fortress (now Gimcheon Gaeryeong), the central town of the Gammun state, that is, Sangju. In addition to Gammun, it could have been used in Ijinji(now iljik in Andong), Pajinhe fortress(now Danchon-myeon, Uiseong), Sonamhe fortress(now Hasong-ri, Hwaseo, Sangju), and Cheolsan (now Daesosan-myeon, Chungju). Most of the grains marked in the SHM form were barley and barley rice. Millet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grains was not on the list for the SHM form. This means that Silla divided grains to manage into two groups, on one hand high-quality grain and on the other, low-grade grain. Just as ‘11斗石’, ‘15斗石’ and ‘60个石’, the ‘Seok石’ of that time referred to both a capacity measure and a container unit (straw bags, for example). ‘15斗石’ meant ‘1石’ in capacity of ‘15斗’ and ‘60个石’ meant ‘1石’ in units of 60. At that time, the measure of ‘1石’ was ‘11斗’ for rice and 15斗 for barley. The fact that the quantity of grains was sometimes omitted refers to the existence of capacity defined by the state Silla. The amount of payment regulation was one seok(1石). The procurement of barley and rice was mostly for Gammun fortress, which was the main town of the upper state Sangju. The ‘Tag喙’ and ‘Bonpa本波’ were two of the six ‘Bu部’ groups that were the mainstream power of the Silla royal palace.
‘Wangsa王私’, that is, the king's private affairs and palace concerned the national king and royal officials. At the heart of the state, there was the jurisdiction of the king and the six divisions, or a ‘chon村’ for which their rights were established.
The jurisdiction and rights of the king and the six Bu were established at the heart of the state ‘Ju州’. The system was newly organized and established in local regions, such as Large Town大村 and New Town新村. Re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local town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when New State新州 was established and the state州 reorganized. The place names seen in wooden tablets are concentrated in Sangju上州, or Upper State. However, the place names in Haju下州, or Lower State, and Sinju新州, or New State, but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cannot be found. Sangju and Haju were organically managed around the Nakdonggang River basin. The transmission department sent goods directly to the destination to reduce waste from logistics and promote operational efficiency. Nakdonggang River was at the center of logistics and national management.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