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토스에의 거리와 합리적 거래의 감성화-1990년대 한국영화 장르의 변전(變轉)과 감성의 재편 (Keeping Distance from Pathos and Turning Rational Trade into Emotions—The Change of Genres and the Reorganization of Emotions in the South Korean Films in the 1990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9.08
32P 미리보기
파토스에의 거리와 합리적 거래의 감성화-1990년대 한국영화 장르의 변전(變轉)과 감성의 재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5권 / 3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박유희

    초록

    본고는 1990년대 한국영화를 장르의 변전과 감성의 재편이라는 차원에서 고찰한 것이다. 1990년대는 영화산업구조와 미디어 환경의 획기적 변화에 따라 장르의 변전과 재편이 일어나며 한국영화사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시기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환이 1987년 민주화와 1998년 IMF로 상징되는 세계자본주의화에 의한 감성의 변화와 연관된다고 보고 영화 텍스트에 나타난 현상을 분석하며 그 이면의 계기와 맥락을 밝혀보고자 했다.
    이 연구가 기존의 논의와 다르게 1990년대 한국영화사에 접근한 지점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1990년대에 왜 하필이면 로맨틱코미디 장르가 부상했는지, 로맨틱코미디는 어떤 단계를 거쳐 성립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우선적으로 이 부분에 착목했다. 둘째, 1987년부터 1999년까지를 전환기로 보고 이 시기에 나타난 장르와 감성의 주류를 읽어내기 위해 최고 흥행작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한 영화들은 장르 판도와 대중의 취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셋째, 멜로드라마와 로맨틱코미디에 대한 분리된 고찰에서 벗어나 두 장르를 아우르는 감성구조를 살펴봄으로써 1990년대 한국영화에 보다 거시적이고 역동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역사는 면면한 흐름으로 이어지는 것인 만큼 그것은 이전 시대와의 단절이 아니므로 연속선상에서 변곡점과 계기에 유의할 때 변화의 역학과 구조가 적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80년대까지 한국영화의 주류 장르는 멜로드라마였고, 이는 구조적 정합성에 어긋나는 모순과 과잉의 요소들이 파토스에 의해 상쇄되거나 봉합되는 오랜 관습을 유지해왔다. 여기에서 구조적 정합성이란 합당한 규약이나 거래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1990년대에 장르가 재편되는 과정은 구조적 정합성을 희생하는 관습에 거리를 확보하는 가운데 진행된다. 그 방향은 합리적 이성주의와 자본의 논리에 의한 통어가 강화되어 가는 것이다. 그것은 웃음을 통해 대상에 대해 거리를 두면서 발언의 수위를 높이고 임계를 확장하는 코미디로 시작하여 감성을 취향의 항목으로 기호화하고 상호 합의와 실리적 거래의 논리를 통해 구축해가는 로맨스로 전개된다. 이를 통해 1990년대 한국영화는 무조건적 가족주의에 긴박된 파토스의 서사로부터 멀어져가는 쪽으로 발전되어 간다. 이는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사회가 근대 합리주의의 쌍생아로서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상향된 궤도에 진입하는 것과 동궤를 이루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South Korean films in the 1990s in the aspects of genre change and emotional reorganization. The 1990s witnessed a change of genres and a paradigm shift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s according to the revolutionary changes of the film industry structure and media environment. Believing that these changes had something to do with emotional changes driven by global capitalization symbolized by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1998,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phenomena in film texts and examined the opportunities and context behind them.
    Unlik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made an approach to the history of Korean films in the 1990s with three point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why the romantic comedy genre emerged in the 1990s and what stages its formation underwent since there had been no profound discussions about them;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biggest hit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1987~1999 to figure out the mainstream genres and emotions during that period since these hits would provide texts to show the genre domain and public taste in a symbolic way; and finally, this study grew out of the separate investigation approach between melodramas and romantic comedies and looked into an emotional structure to encompass both genres to make a more broad and dynamic approach to South Korean films in the 1990s. History flows continuously without severance from previous times. When there is attention paid to inflection points and opportunities in the continuum, it can show the dynamics and structures of changes.
    This research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mainstream genre of South Korean films had been melodramas until the 1980s. The old convention had been kept to offset or suture contradictions and excessive elements deviant from the structural consistency. Here, the structural consistency refers to no compliance to rational regulations or trade. The process of genre reorganization in the 1990s happened while securing some distance from the convention of making the structural consistency a sacrifice. The direction was to reinforce control through reasonable rationalism and logic of capital. It developed into romance, which would start with comedy to keep distance from the objects through laughter, heighten the level of remarks, and expand criticality, symbolize emotions with taste items, and build through the logic of mutual consensus and practical trade. In the 1990s, the South Korean films thus developed in a direction of moving away from the narrative of urgent pathos based on unconditional familism. It was on the same track as the entry of the South Korean society into the upgraded orbits of democracy and capitalism as the twins of modern rationalism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98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