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0년대 현대시론의 정전 구성과 메시아주의 수용 문제 -‘미래파시론’을 중심으로- (An Issue of Canon Formation of Modern Poetics and Accommodation of Messianism in 2000’s -Focusing on ‘Miraepa Poetic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01
23P 미리보기
2000년대 현대시론의 정전 구성과 메시아주의 수용 문제 -‘미래파시론’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현대 한국 시론의 메시아주의 심층 분석 제공
    • 📚 2000년대 문학 담론의 학술적 변화 추적
    • 🌟 시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학문적 접근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51호 / 103 ~ 125페이지
    · 저자명 : 최종환

    초록

    2005년 이후 한국 시론은 우리 문학의 메시아적 진리에 대해 열망했다. ‘진리’ ‘공의’ ‘해방’ '소명' ’구원' 등과 관련된 무의식적 키워드를 급속히 수혈했다. 2000년대 중반 이래 운위돼 온 ‘미래파시론’과 ‘시와 정치’ 논의는 우리 시에 그 새로운 진리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기도 했던 것이다. 종전의 문학 정전을 ‘새하늘과 새땅’이라는 메시아 장소로 이동시키려는 시도가 거기 있었다. 그것은 알려진 것처럼 전래의 서정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새로운 시의 정전을 구성하려는 의지였다. 무엇보다 미래파 시론의 입안 당시 강조했던 '부정성'은 “지나간 이전 것이 마음에 기억되지 아니하’는, 그래서 메시아적 역능으로 인해 ‘기뻐하고 즐거워하’(사 65:17-18)는 세계를 만나고자 했다. 그것은 도래할 메시아의 장소가 ‘추’를 ‘미’의 장으로 열어내는 충격적 사건적 장에 대해 예언했다. 그 예언은 진부한 서정시를 대체할 대안적 시를 희원하고 있었던 당시 한국 평단의 요구에 부합했고, 그것에 반대하는 논자들과의 논쟁을 거치면서 한국 시단에 미래파시론의 정전 구성 작업을 가속화했다.
    2008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비극적 참사들을 목도하면서 점화된 '시와 정치' 논의는 미래파시론이 열망했던 “새하늘과 새땅”을 다소 다른 방향으로 점화해냈다. 거기서 메시아적 진리는 아파하는 이들의 ‘눈물이 씻겨지’(계 21:4)는 공동체적 자리 속에서 읽혔다. 신적 진리를 들을 수 있는 주체와 그러지 못하는 주체 간 분할 선은 재분할되어야 했다. ‘전날 우리가 발굴했던 급진적 미학적 지식을 삶으로 실험해 낼 수 있는가’의 문제의식이 거기 있었다. 이는 2005년 이후 미래파시론이 진리주체/비진리주체 사이에 설정했던 숭고한 할례의 기준선을 다시 할례함으로써 메시아의 진리를 더 온전케 하려는 시도였다. 때문에 ‘시와 정치’ 논의는 그 의지 차원에서만큼은 2005년 이후 미래파 시론의 자유주의 시학에 대한 재정전화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메시아주의의 전망에서만 본다면, ‘시와 정치’ 논의에서 메시아주의는 그 당시 유입되었던 사도 바울의 메시아 해석을 통해 활성화되었다.

    영어초록

    Korean poetics since 2005 has aspired for Messianic truth of our literature and rapidly transfused unconscious keywords related to ‘truth’, unbiased view’, ‘liberation’, ‘calling’, and redemption’. ‘Miraepa Poetics’ and ‘Poem and Politics’ discussions referred since middle of 2000’s were the attempt to convey that new truth in our poems. There was an attempt to relocate the existing literature canon to the Messianic location of ‘New Heaven and New Earth.’ It was a will to strongly reject the conventional lyricism but to form new poem canon as may be known. More than anything else, ‘negativity’ emphasized at the time when Miraepa poetics was planned was to meet the world ‘where things will not be remembered, but be glad and rejoice forever in what I will create, for I will create Jerusalem to be a delight and its people a joy’ (Isaiah 65:17-18). It predicted the arena of the shocking event where the place of Messiah to arrive opens the ‘ugliness’ into the ‘beauty’. That prophecy coincided with the request of Korean literary critics that wanted alternative poem that might replace prosaic lyric poem, and accelerated the work of forming canon Miraepa poetry in the world of Korean poetical circle while going through argument with arguers who opposed it. “Poem and Politics’ discussion ignited while witnessing catastrophic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in Korea society since 2008, ignited ‘New Heaven and New Earth’ that Miraepa poetics had aspired, into rather different direction. There, Messianic truth was read from the communal position of ‘he will wipe every tear from their eyes’(Revelation 21:4). Dividing line between entities between the entity that can hear divine truth and those not should be split again. There was the ‘awareness of a problem ‘whether we can realize the radical aesthetic knowledge we excavated in the past into our lives. This was the attempt to make the Messianic truth by snipping the standard line of sublime circumcision set by the Miraepa poetics between entities of truth/entities of non-truth since 2005. Due to this, the ‘Poem and Politics’ discuss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dimension of re-canon on the liberalism poetics of the futurist public opinion since 2005 in terms of the commitment. From the prospect of Messianic truth, the Messianism in the ‘Poem and Politics’ discussion was activated through interpretation of Messiah by the St. Paul that was flown in at that time. More than anything else, the concept of ‘repartition’ and ‘remaining’ of Paul drawn by Agamben triggered causes for some minority and their communities that they should give up to tell the truth of the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