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Image Creation Process of the Clan Members of Initial Stage Salimpa(初期士林派))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06
45P 미리보기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조선 초기 지식인의 실제 모습을 생생하게 복원하는 학술적 가치
    • 🔍 초기 사림파 문인의 다면적 이미지 형성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 💡 기존 역사 서술의 편향성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관점 제공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9호 / 267 ~ 311페이지
    · 저자명 : 김보경

    초록

    迂拙齋 朴漢柱(1459-1504)는 金宗直의 門人으로, 조선전기 지성의 한 면목을 엿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初期士林派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을 흥미롭게 보여 준다.
    박한주 생애자료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그의 외손 周博이 찬한 行狀이다. 이 글에서는 아직 특정 이데올로그로 규격화하지 않은 느슨한 박한주를 볼 수 있다. 현양사업의 추이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먼저 임란 직전 鄭逑가 함안의 묘소를 정비하고 제사를 지내면서 그는 충신의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충신의 표상 위에 도학자의 표상이 더해지는데 후자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난후에는 밀양의 향촌질서를 재정비하는 작업과 연동되어 현양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박한주는 김종직과 연결되어 도학적 관점에서 재평가되었다. 17세기 중반을 전후해서는 박한주 현양이 禮林書院․閭表碑등 사회적 표식의 형태로 추진되는 가운데 김종직 도학의 嫡傳化가 시도되었다. 18세기 현양사업의 특징은 박한주의 족손 朴壽春과 결합되어 전개된 것이다. 그중 南岡書院 請額疏는 국가적 공인을 받기 위한 노력으로, 道統의 관점에서 박한주의 위상을 재정의하였다.
    도학자 박한주를 만드는 데는 현양사업의 주체들 즉 密陽 士林의 의지, 밀양 박씨 문중의 노력, 그리고 退溪-寒岡 연원 학파의 협조가 공동으로 작용했다. 유의할 것은 도학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김종직이나 金宏弼․鄭汝昌과 과도하게 결합, 명명되면서 오히려 박한주의 실체가 왜소하게 제약되었다는 점이다.
    박한주가 남긴 작품을 돌아보면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라는 주제의식을 문학적 역량을 다해 형상화하고 있는 ‘글 잘 쓰는 사람’ 박한주를 만나게 된다. 經術과 文才 어느 한쪽으로는 그의 온전한 얼굴을 복원할 수 없다. 性理 학문을 익히는 박한주, 道․佛書도 버리지 않은 박한주, 『楚辭』 읽기를 좋아하고 글을 잘 썼던 박한주. 이것을 아우른 모습이야말로 당대 생생하게 살아있던 실존으로서의 박한주였으리라.
    우리가 기록/기억하고 있는 그들은 도학, 도통, 문묘, 서원의 이름으로 기획된 얼굴이 아닌지, 또 지금 우리는 다시 그들을 ‘초기사림파’라는 이름으로 분칠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할 일이다. 특히 박한주의 경우 김종직과 김굉필․정여창에게 강하게 결박된 채 기록/기억되어 왔으므로 이중으로 왜소화(또는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박한주 연구에서 이 점이 각별히 유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hjojjae Park Han-joo(迂拙齋 朴漢柱, 1459-1504) was Kim Jong-jik(金宗直)'s clan member, and he amusingly shows the image creation process of the initial stage Salimpa, a Confucian School.
    Among the lifetime materials of Park Han-joo, the earliest period material was Haengjang(行狀) compiled by his daughter's son, Ju Bak(周博). In Haengjang, loose Park Han-joo, who was yet to be standardized with specific ideology, can be viewed. Examining in relation with the trend of his exaltation, Park Han-joo emerged as the symbol of loyal subject, as Jung Goo(鄭逑) reorganized the grave of Park Han-joo in Haman(咸安)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just befor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Since then,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added on top of the symbol as a loyal subject, and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more fortifi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was conducted in linkage with the reorganization of country order in Milyang(密陽). In such a process, Park Han-joo was re-evaluated from an ethical perspective in connection with Kim Jong-jik. The exaltation of Park Ha-joo in about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as promoted as the type of social marking including Yerim Seowon(禮林書院) and Yeopyobi(閭表碑). In those days, an attempt to make Park Han-joo as Kim Jong-jik ethics' orthodox disciple was carried out.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in the 18th century was undertaken in combination with Park Su-choon(朴壽春), a sort of his grandchild. Especially, Sa-Aek-So, a pubic appeal of Namgang Seowon(南岡書院請額疏) was an effort to receive national official approval, which re-enhanced the status of Park Han-joo from the moral perspective.
    Concerning the main players of exaltation of Park Han-joo, a moralist, expecially, the intention of Milyang Salim(密陽士林), efforts of Milyang Park Family and the cooperation of Yeonwon School of Toegye(退溪)-Hangang(寒岡) were jointly operated. Bottom line is that the true nature of Park Han-joo was restricted and underestimated, as he was named in excessive combination with Kim Jong-jik, Kim Goeng-pil(金宏弼) and Jeong Yeo-chang(鄭汝昌) in the process of making him a moralist.
    Looking at the works Park Han-joo left, readers can meet him as a good writer that embodies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Struggle for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Nation's Vision and Social Morality" through his full literary competency. His true nature cannot be fully restored with only one side between studies researching Confucian Classics and literary talent. Park Han-joo learned Neo-Confucianism(性理), did not throw away Taoism and Buddhism books, loved to read the Chu Ci(楚辭) and was a good writer. All these images could be the vividly living existence of Park Han-joo.
    We need to reflect on ourselves about whether what we remember or record are the faces planned in the names of ethics, Confucian shrine and Seowon (lecture hall) or whether we decorate the images of Park Han-joo in the name of initial stage Salimpa again. Since Park Han-joo was recorded and has been remembered being bound by Kim Jong-jik, Kim Goeng-pil and Jeong Yeo-chang more than anyone else, there is a huge possibility that he was underestimated or distorted in duplicate way. Attention should be especially paid to this in studying Park Han-j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