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he Poetics of Service를 통한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용 경험 분석 및 개선 제안 (Analysis of User Experience and Proposal for Improvements in Social Dating Services Through the Poetics of Servic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3.09
17P 미리보기
The Poetics of Service를 통한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용 경험 분석 및 개선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22권 / 3호 / 59 ~ 75페이지
    · 저자명 : 이해인, 강민주, 박혜린, 김경민, 전수진

    초록

    연구배경 :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 간 관계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소셜 데이팅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예외적으로 더딘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이용 행태와 관련해서는 이러한 서비스가 사람들 간의 피상적인 만남을 조장한다는 지적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시장의 둔화를 극복하고 사용자 간의 연결을 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규 기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사전 조사를 통해 소셜 데이팅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가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사용 경험을 지닌 참여자 대상의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The Poetics of Service 연구에 제시된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받은 이용 상위 5개의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 모델을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 과정 전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과 사용자 여정 및 이를 반영한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 설문 및 인터뷰 결과, 소셜 데이팅 서비스는 주로 장기적 관계를 위한 상대 탐색을 목적으로 사용되나, 사용자는 대체로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만족도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점차 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서로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상대를 탐색할 수 있는 과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결론 : 제안된 기능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피드 형식을 차용해 프로필 구성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사용자 간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화 과정에서는 제한된 시간의 대화 단계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마련하여 밀도 있는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서비스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상대를 더 효과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관계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 Social dating services, which provide opportunities to form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users through online platforms, are increasing in use worldwide, but are showing exceptionally slow growth in the domestic market. Regarding the general use of social dating services, it has also been pointed out that these services encourage superficial encounters between people.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a new function that could overcome the slowdown in the domestic market and qualitatively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users.
    Methods : In this study, hypotheses on the use of social dating services are derived through preliminary surveys, and based on thi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in using the service are conducted. In this process, the top five services answered through the survey are analyzed by applying the analysis model presented in the Poetics of Service study. Subsequently, based on the comprehensive model, the service use flow, function and design output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overall problem of the service use process.
    Results : Based on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social dating services are primarily used for exploring potential partners for long-term relationships; however, users generally do not feel satisfied with the intended purpose, leading to a tendency to develop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service. To address these issues, we aimed to create a process where users can explore potential partners based on mutual trust.
    Conclusion : In the proposed features, we adopted a feed-style format from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alleviate the difficulty of profile construction and enable the formation of user communities. During the conversation process, we aimed to encourage dense conversations by introducing limited-time conversation stages and entertainment features. Through these functionalities, we hope users can more effectively explore trustworthy counterparts within the service and, based on this, foster meaningful relationshi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