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효과성이 교육부서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부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Effectiveness and Department Commitmen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among Sunday School Teacher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11
23P 미리보기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효과성이 교육부서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부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2호 / 577 ~ 599페이지
    · 저자명 : 함영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교사가 인지한 팀 효과성이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교회학교 성장 하락세는 이미 오래전에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쇠퇴를 극복하고 다시 성장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회의 내부적인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내부요인 중에 교회학교 교사의 역할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회학교 교사는 학생들의 영적인 성숙과 성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교육부서에 대한 만족도와 헌신도를 높여주고 이것이 학생지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동안 교회학교 교사의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개인리더십에 초점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부서 내에서 교사의 팀 사역에 대한 효과성은 자신이 섬기는 부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고 더 나아가 헌신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이미 정부조직이나 일반 기업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팀효과성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하고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반 학교 내에서도 팀효과성은 긍정적인 교육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반하여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팀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에 있다. 다만 부서 내에서의 팀워크가 부서의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교사가 가진 팀 효과성이 부서 만족도를 매개로 부서 헌신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 방법으로 시행되었는데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19개 교회에서 344명의 교사들이 연구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학교 교사가 인식한 부서의 팀 효과성이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604) 만족도가 간접매개효과를 보였다(.308). 한편 리더십 강의를 수강한 교사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팀 효과성, 헌신도, 만족도에 있어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경험이 많은 40-50대 교사가 20대 교사에 비해 헌신도와 팀효과성 등이 더 높았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중요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부서가 교사들의 사역만족도와 헌신도를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성경이 제시하는 다양한 팀 사역의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회학교 부서 내에서 팀 효과성을 높여주기 위해서 경력이 많은 교사와 경력이 짧은 교사 간에 유기체적인 학습 및 신앙공동체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교회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리더십 교육을 통해 팀효과성을 향상시켜주고 결국 교회학교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각 교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교사 리더십’ 과목을 개설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eam effectiveness perceived by church schoolteachers affects their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Although the downturn of church school growth in Korea began long ago, the internal movements of the church have been very active to overcome this decline and advance in the direction of regrowth. The role of church schoolteachers among the internal factors for the growth of church schools is paramount. Church schoolteachers play a key role in students’ spiritual maturity and growth. In particular, teachers’ leadership skill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and commitment to education departments,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student guidance.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leadership of church schoolteachers have focused on personal leadership.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ir departments may boost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and thu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mitment. Team effectiveness has already been the subject of active research by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general companies.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have reported that team effectiveness contributes to effective management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organization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eam effectiveness within regular schools may bring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On the contrary, research on team effectiveness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area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eamwork within departments is believed to affec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de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of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on their commitment to the departmen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344 teachers from 19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30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schoolteachers’ perceptions of departments’ team effectiveness and commitment (.604). On the other h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took a leadership course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on team effectivenes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aged 40–50 had higher commitment and team effectiveness scores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is result, three important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First, education departments should increase team effectiveness to improve teacher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do so, they should utilize the various models of team effectiveness presented in the Bible. Second, an organic learning system and a community of believers should be formed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to increase the team effectiveness within the departments at church schools. Third, team eff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through ongoing leadership training for church schoolteachers,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healthier church schools. To do so,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teacher leadership” cours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in each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