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임스 크뤼스의 청소년소설『팀 탈러』의 비밀 유지 조건 - 언어, 소통, 문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Das Schweigegebot in James Krüss’ Jugendroman Timm Thaler - Zur Rolle von Sprache, Kommunikation und Literatur)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12
19P 미리보기
제임스 크뤼스의 청소년소설『팀 탈러』의 비밀 유지 조건 - 언어, 소통, 문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카프카학회
    · 수록지 정보 : 카프카 연구 / 36호 / 123 ~ 141페이지
    · 저자명 : 최문선

    초록

    본 논문은 비밀 유지의 조건이 지니는 의미와 그 영향에 중점을 두고 크뤼스가『팀 탈러』에서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언어와, 소통 자체에 어떤 역할을 부여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소통에 있어서는 사람들 사이의 직접적인 소통과 예술이나 문학을 매개로 한 소통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작가의 작품 전체에 나타나는 주요 테마로서, 도데라는 크뤼스처럼 철학적 사고를 하며 언어에 대해서 자주 그리고 상세히 이론화하는 작가를 찾기 어렵다고 말한다. 아다 비버 Ada Bieber 역시 크뤼스의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근본적인 주제는 소통과정과 자아정체성 형성, 그리고 이러한 과정의 결과인 성숙함이라고 밝히며, 이러한 성숙함은 대개의 경우 확고한 신념과 비판적 사고를 겸비한 인성으로 표현된다고 설명한다. 여기서는 소통과 성장의 관계가『팀 탈러』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그리고 크뤼스가 주인공의 성숙함을 어떻게 그려내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팀 탈러』는 무엇보다도 이야기하는 것 자체를 주제화하는 소설이다. 왜, 무엇을, 어떤 형태로 이야기하는지, 이야기하기가 왜 중요한지, 어떤 목적으로 이야기하는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작가 크뤼스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는데, 우선 개인과 인간 상호간의 영역에서 이야기하기의 필요성의 측면에서 접근한다. 사람들과 경험이나 감정을 나누는데 꼭 필요한 수단으로서의 이야기하기는 성숙한 인간으로 발전하는 개인의 성장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소설은 동시에 ‘이야기하는 매체’인 문학이나 연극도 조명하는데, 이러한 매체들은 사람 사이의 직접적인 소통과 유사한 역할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야기하기의 이러한 기능은 팀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서만 제시되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하는 매체로서의 아동청소년문학 자체가 정체성형성/성장과정과 관련되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서 다시 한 번 이 소설의 액자식 구성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 액자 밖 이야기에서 소설의 1인칭 화자는 어릴 적 같은 고향에 살았던 팀 탈러를 우연히 만나 7일에 걸쳐 팀이 남작에게 웃음을 판 이야기를 전해 듣고, 이를 책으로 쓰기 위해 자세히 메모한다. 즉 크뤼스는 팀 탈러가 직접 말해준 삶 이야기에 토대를 두고 1인칭 화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청소년도서의 허구적인 생성사를 보여준다. 그러면서 동시에 이 이야기를 통해 1인칭 화자가 겪은 학습과정을 드러나게 함으로써, 이야기하기와 정체성형성/성장과정 간의 관계를 주제화한다. 왜냐하면 팀 탈러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1인칭 화자 역시 팀과 마찬가지로 남작과 그 일당들의 계획이나 일 처리방식을 간파했기 때문에, 책으로 쓰지 말고 대신 돈을 챙기라는 그란디치의 제안을 확실하게 거절하기 때문이다. 이 청소년소설의 잠재적 독자들도 이 책을 통해 이러한 학습과정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팀 탈러는 이런 맥락에서 아동청소년문학이 수행해야 하는 과제를 주제화한 소설이라고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James Krüss variiert in seinem Jugendroman Timm Thaler Motive und Themen aus Adelbert von Chamissos Peter Schlemihls wunderbare Geschichte. Krüss lässt seinen Protagonisten Timm gegen die Zusicherung, jede Wette zu gewinnen, sein Lachen an einen geheimnisvollen Baron verkaufen. Damit verbunden ist eine Schweigeklausel, die es Timm verbietet, über diesen Vertrag zu sprechen.
    Ausgehend von einer Relektüre des Romans, die die Auswirkungen dieses Schweigebots in den Mittelpunkt des Interesses stellt, versucht die vorliegende Arbeit aufzuzeigen, welche Rolle James Krüss der Sprache als Mittel der Kommunikation und dem Erzählen als Möglichkeit des Austauschs von Erfahrungen und Emotionen zuweist. Dies betrifft vor allem das mündlichen Erzählen in der unmittelbaren zwischenmenschlichen Kommunikation, aber auch Medien des Erzählens, wie Literatur und Theater. Funktion des Erzählens ist es jeweils, bei den Rezipienten Lernprozesse in Gang zu setzen, die es ihnen ermöglichen, der Umwelt verstehend zu begegnen und die eine unabdingbare Voraussetzung für eine gelungene Identitätsfindung und die Entwicklung einer mündigen Persönlichkeit sind.
    In besonderer Weise sind diese Zusammenhänge für die Kinder- und Jugendliteratur von Bedeutung. Krüss greift diesen Aspekt explizit auf, indem er in der Rahmenhandlung des Romans die fiktive Entstehung eines Jugendbuches, eben Timm Thaler, auf der Basis einer Erzählung, der Lebensgeschichte von Timm Thaler schildert und den Erzähler des Romans durch die Rezeption der Lebensgeschichte einen Lernprozess durchlaufen lässt. Timm Thaler ist insofern auch ein Roman, der die Aufgaben von Kinder- und Jugendliteratur zum Thema mac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카프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