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슈라바스티 신통 서사의 구조적 특징 - 「이학각비경」을 중심으로 - (The Mythical Anecdote of Buddha at Śrāvastī: Focusing on The Sūtra about the Heretics’ Quarrel and Figh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5.04
29P 미리보기
슈라바스티 신통 서사의 구조적 특징 - 「이학각비경」을 중심으로 -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불교 역사와 신통 서사의 깊이 있는 학술적 분석 제공
    • 🔍 「이학각비경」의 미탐구된 연구 영역에 대한 새로운 통찰
    • 📜 붓다와 기성 교단 간의 역사적 갈등과 극복 과정 상세 설명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8호 / 197 ~ 225페이지
    · 저자명 : 김미숙, 권기현

    초록

    슈라바스티의 신통(神通) 서사(敍事)는 붓다의 8대 성스러운 행적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고대 인도의 불교 미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서사이기도 하다. 본문에서는 슈라바스티의 신통 서사를 전하고 있는 여러 문헌 가운데서도 가장 연대가 이른 시기에 편찬된, 『불설의족경』 중 「이학각비경」(異學角飛經)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서사가 실린 다른 문헌들과 비교하면서 논하였다. 「이학각비경」에서 전하는 슈라바스티 신통 서사는 지금까지 연구 미답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붓다가 전법 초기 단계에 피할 수 없었던 기성 교단과의 대립을 어떻게 해소하고 극복했는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인 서사의 구성 요소 중에서 시공간적 배경, 주인공과 그 주인공을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였던 주요 신들에 대해서 논하였다. 붓다와 대결했던 푸라나 카쉬야파 등의 브라마나(brāhmaṇa) 6존(尊)은 불교 문헌에서 흔히 ‘6사 외도’(六師 外道)로 불리며 슈라마나 교단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학각비경」에서는 ‘슈라마나 가우타마 대 6존의 브라마나’라는 구도로 서술하고 있다. 필자는 그러한 명칭의 배경과 이유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필자가 추정하건대, 붓다는 새로운 진리를 깨달은 슈라마나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붓다가 기성 교단인 브라마나의 스승들과 대결하여 승리하였다는 점을 중요시했다고 본다. 그리고 본 서사에는 판치카(Pañcika)를 비롯한 여러 신들이 붓다의 조력자로서 등장하는데, 단순히 붓다 대 6존이라는 숫자의 불균형을 맞추려는 데 그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슈라바스티의 신통 서사에 나오는 붓다의 조력 신들은, 후대에 대표적인 불교 호법신(護法神)들이 되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We can get quite detailed information after Gautama Buddha gained Mahabodhi. Nevertheless, the modern version of the Buddha’s biography is quite rare, which tells the mythical anecdote that the Buddha had a prātihārya confrontation with a heretics in the Śrāvastī. This is because there is a strong view that excessively mysterious and mythical narratives do not help understand the Buddha. Howev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life of the Buddha, I believe that a series of narratives that traditionally belong to the Avadāna(allegory) are very important. Śrāvastī’s prātihārya narrative is considered one of the eight sacred deeds of the Buddha. It is a well-known narrative related to ancient Indian Buddhist art. However, in some cases, the description of such ancient art does not completely match the Buddhist literature. Therefore, in this paper, among the Buddhist literatures containing the Śrāvastī’s prātihārya narrative, I discussed it by comparing it with other literatures containing the same narrative, focusing on The Sūtra about the Heretics’ Quarrel and Fight. In particular,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time and place, the protagonist and the main gods that served as helpers for the protagonist, which are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overall narrative. Six brāhmaṇas, including Pūraṇa Kāśyapa, who faced off with the Buddha, are commonly known in Buddhist literature as “six’s pagan” and belong to the śramaṇa order. However, in this The Sutra about the Heretics’ Quarrel and Fight, it is described in the composition of ‘śramaṇa Gautama versus six brāhmaṇas’. In this paper, I also analyzed the background and reason for such a name. I assume that the Buddha is emphasized as śramaṇa, who realized the new truth(dharma), and that he intended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Buddha won against six brāhmaṇas. Pañcika and several other gods appear as helpers of the Buddha, and it is quite superficial to see that the purpose is simply to match the imbalance of Buddha versus six brāhmaṇas. Later on, the Buddha’s helper gods in the Śrāvastī’s prātihārya narrative became a representative god of Buddhist truth(dharma). I reasoned that the mythical idea of Indian tradition was behind the belief that natural gods and heavenly gods who responded to a practitioner(ascetic) who achieved wisdom and truth through practice demonstrated all kinds of mystic wonder(prātihār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