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예술영화 <내가 본 나라> 시리즈에 나타난 티모스의 영화미학 (Thymos’ Cinematic Techne, The Country I Saw)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2.11
29P 미리보기
북한예술영화 &lt;내가 본 나라&gt; 시리즈에 나타난 티모스의 영화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21호 / 99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선아

    초록

    현대전은 국지전이 아닌 전면전, 원거리 공격, 순간적 속도 등을 특징으로 한다. 핵탄두를 장착한 장거리 미사일은 이러한 특징을 고스란히 지닌 대표적인 현대 무기이다. 현대전의 이러한 특징은 또한 영화라는 ‘지각의 무기’에 고스란히 전사되어 현실을 지각하는 장 자체에 변화를 가져온다. 전쟁과 영화는 서로 상호 침투하여 구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북한은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김정일의 사망 직전에 핵탄두 장거리 미사일로 완성시켰으며, 이에 대한 전쟁영화인 <내가 본 나라>를 동시에 완성하여 인민대중들과 핵의 유사-실재, 즉 핵의 영화 이미지를 공유했다. 1988년에 북한에서 처음 제작된 예술영화 <내가 본 나라>는 김정일이 죽기 직전인 2010년에 제5부까지 완성된 시리즈이다. <내가 본 나라> 제2~5부를 관통하는 중요한 영화의 라이트모티프는 ‘핵무기’이다. 선군정치에 그 몸통과 실체라는 물질적 층위를 부여한 건 ‘핵’이라 할 수 있다. <내가 본 나라>시리즈는 선군정치의 궁극적 실재이자 하나의 숭고한 국가 시뮬라크라로 ‘핵무기’를 제시한다. 영화의 속도는 현대 핵전쟁의 특징인 전면전, 정보전, 탈지역전, 스크린 전쟁과 비례하면서 폴 비릴리오의 주장대로 실재 전쟁이나 전투 장면은 사라진 채 “전면전의 실재적 시간, 즉 기술적 공격의 진짜 속도에 가까운 ‘강렬한 시간’속에서 전개된다.” <내가 본 나라>는 핵전쟁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현대전의 특징을 영화미학적으로 전경화하면서 김정일을 김일성과는 다른 일종의 티모스적 영웅으로 부각시킨다. 제국주의 국가와 대등해지려는 약소국의 티모스적 욕망은 북한이 핵무기를 소유하는 데에 주권적 정당성을 확보해 주고 동시에 북한중심의 동아시아 지정학을 영화에 전사한다. 본 논문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수령 및 영도자의 영화 아이콘을 <내가 본 나라>시리즈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분석하고, 1980년대 대표적인 북한 전쟁영화인 <월미도>와 비교하여 <내가 본 나라>시리즈가 어떻게 새로운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영화 미학적으로 펼치고 있는지를 논증한다. 특히 <월미도>와 <내가 본 나라>는 각각 국지전과 정보전, 지역전과 탈지역전, 실제 전쟁과 미디어 전쟁, 연속성 편집과 네트워크 편집, 플래시백 편집과 피드백 편집 등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내가 본 나라>시리즈는 전 세계가 불안해하고 있는 핵에 대한 공포를 티모스의 정의감으로 변형하고 전치시켜 영화가 어떻게 일상을 전쟁으로 미학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odern war is characteristic of an all-out battle, long distance attacking, and an instant speed: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ICBM). The cinema of a ‘weapon of perception’ transcripts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 war and transforms the perceptional fields on the real world. The war and cinema are inseparable to each other because the real battle field is absorbed into perceptional field and becomes a magnific world of simulacra. The Kim JungIl’s Seongoon politics–Military-first politics-is completed by ICBM. The film series of The Country I Saw has begun in 1988 and by the time of 2010, 4 sequels have been made. It is the nuclear weapon that is the leitmotif of The Country I Saw. In The Country I Saw, the nuclear weapon actualized by Kim JungIl becomes another sublime national simulacra, and also stands Kim JungIl as a Thymosian hero. The speed of cinema is in proportional to the nuclear war, which is all-out battle, information war, delocalized war mediated by screens. As Paul Virilio argues, The Country I Saw exposes the real time of all-out battle, that is an intensive time nearly similar to technical attacks without the scenes on real war or battlefields. Thymos, the characteristic of Seongoon politics as well as the Kim Jungil’s ideal-ego, means the feeling of justice, courage, pride, self-respect, not included into reason and desire. Thymos is an icon of Kim JungIl’s power different from the former dictator, Kim Ilsung.
    Besides the approach on an icon of power and comparing war to cinema, the paper also tries to compare The Country I Saw to Wolmido, which is a well-known North Korean war film in the 1980s. The series of The Country I Saw and Wolmido are different in terms of filmic aesthetic mode;local war and information war, battlefields and non-regional war, real war and media war, continuity editing and network editing consisted in loop and warp, the filmic structure of flashback and feedback. The series of The Country I Saw, as a result, shows the catastrophic aesthetics, transforming and displacing the feeling of terror towards the nuclear into the Thymos’ justice in the age of the nucl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