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텐서그리티 구조 형태를 바탕으로 한 금속 조형 연구 (Metal Works Based on Tensegrity Struc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3.12
14P 미리보기
텐서그리티 구조 형태를 바탕으로 한 금속 조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16권 / 4호 / 89 ~ 102페이지
    · 저자명 : 손정민

    초록

    기하는 건축과 미술을 포괄한 만물현상의 기본 구성요소가 되고 있으며, 기하의 근원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은 건축과 미술의 공통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기원전 6세기경 피타고라스에 의해 논리적 학문으로 정립된 기하학은 고대로부터 인간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되어 왔으며, 그 논리적 체계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건축 설계를 질서 있고도 조직적으로 이끄는 절대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하 형태는 건축 속 기본 뼈대가 되는 ‘구조’와 함께 본인의 작업 속에서도 공간 형태를 구축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조형의 원리를 바탕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거쳐 입체적인 3차원의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건축적 시각과 방법론을 차용하고 응용하는 활용법은 현대미술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미술의 전통적 범위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건축과 미술의 관계를 분석하다 보면, 두 장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갖는데 이런 양면성의 적절한 응용과 해석 여하에 따라 예술에 있어서의 창작 가능성은 더 풍부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건축물들 중 텐서그리티 구조와 인장에 의해 완성되는 구조 형태를 바탕으로 이를 조형화 하는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공간형태와 이를 실현하는 구조와의 연관성, 형태에 작용하는 힘의 흐름과 균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작업 속 주재료로 쓰이는 스테인레스 스틸선은 텐션(Tension)이라는 금속 선재의 특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방향성과 운동감을 가지며 공간 속에서의 리듬감이라는 조형적 효과를 연출하고 있다. 또한 광원에 따라 연출되는 시각적 질감을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긴장감이 느껴지는 텐서그리티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힘과 형태를 완성시키는 구조적 해결을 통한 조형을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장르인 건축과 미술이 상대방의 관점에서 차용될 경우 융합의 과정을 통한 상호보완적인 결과물을 얻게 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One of the common points between architecture and art is that it can't be free from the origin of geometry and this geometry that works as the most basic medium becomes the basic component of all things' phenomena apart from architecture and art. Geometry has been used widely in human life from ancient times and in around the 6th century B.C., based on the establishment to a logical study by Pythagoras it had already established the logical system Before Christ. The logical system of this geometry has been working as the absolute factor to lead the architectural design orderly and systematicall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form conception in my work started from the geometric factors working in architecture and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from after recomposition based on the formative principle.
    In contemporary art, the utilization method to borrow and apply architectural viewpoint and methodology is commonly tried. This trial works as a factor to open a new possibility beyond the traditional scope of art. When the relationship of architecture and art is analyzed, the two genres hav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simultaneously and it can be known that appropriat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is double-sidedness can enrich the creative possibility in art.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is thesis focused on bridge structure completed by tensegrity and tension among various structures and the work to develop it to molding progressed. The stainless wire used as a main material in work becomes a medium to efficiently produce visual feel according to a light source. This plays a role in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etal wire of tension and produces formative effect of rhythm in space through a sense of direction and motion.
    From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uld realize molding through the structural solution to complete power and forms caused by tensegrity structure. Furthermore, in case of borrowing other architecture and genres of art in the creative aspect from counterpart's viewpoint, it could confirm that the third lift tendency beyond the border of genre could be underst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디자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