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상세계의 틈 파고들기 (Exploring the Fissures in Virtual Worl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2.12
22P 미리보기
가상세계의 틈 파고들기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독창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가상현실의 철학적, 기술적 측면을 깊이 있게 탐구
    • 🤖 기술의 불완전성과 인간 경험에 대한 독창적 관점 제시
    • 🔍 포스트 인간중심주의 이론과 연계된 혁신적 접근법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비교문학저널 / 62호 / 293 ~ 314페이지
    · 저자명 : 심효원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how users explore and experience the fissures which accidently occur because of technological errors in Virtual Reality(VR). It begins with the question “Does the world exist if I am not watching it?” raised in Parallel Ⅱ, a video work by Harun Farocki. Since virtual reality is the simulation of our physical world, it seems like we have control over our actions in VR, but in fact, we need to move according to the constructed world, not ourselves. In other words, VR viewers are constantly forced to move and act according to what they are shown. This is how the virtual world resembles our physical world, i.e. reality. VR technology tends to embody a specific type of realism extending the order of the world. Although it corresponds to our spatial sense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s, there are also some moments that make users face up to the technological imperfections which I call “fissures.” In this regard, the virtual world as a simulation of reality could be revealed when users find the fissures which are not intended and see through them what led to the world without us. This is how this act of seeing entangles with recent post-Anthropocentrist theories. To elaborate on the idea, the notion of ancestralité suggested by Quentin Meillassoux and “black” as emptiness by Eugene Thacker are brought into this discussion. Also, in addition to Farocki’s work, some contemporary artworks and cultural tendencies are analyzed as examples illustrating users’ actions exploring the fissures in virtual worlds.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how users explore and experience the fissures which accidently occur because of technological errors in Virtual Reality(VR). It begins with the question “Does the world exist if I am not watching it?” raised in Parallel Ⅱ, a video work by Harun Farocki. Since virtual reality is the simulation of our physical world, it seems like we have control over our actions in VR, but in fact, we need to move according to the constructed world, not ourselves. In other words, VR viewers are constantly forced to move and act according to what they are shown. This is how the virtual world resembles our physical world, i.e. reality. VR technology tends to embody a specific type of realism extending the order of the world. Although it corresponds to our spatial sense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s, there are also some moments that make users face up to the technological imperfections which I call “fissures.” In this regard, the virtual world as a simulation of reality could be revealed when users find the fissures which are not intended and see through them what led to the world without us. This is how this act of seeing entangles with recent post-Anthropocentrist theories. To elaborate on the idea, the notion of ancestralité suggested by Quentin Meillassoux and “black” as emptiness by Eugene Thacker are brought into this discussion. Also, in addition to Farocki’s work, some contemporary artworks and cultural tendencies are analyzed as examples illustrating users’ actions exploring the fissures in virtual wor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비교문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