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건축에 나타난 르네상스적/바로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뵐플린의 개념틀에 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naissance/Baroqu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Analysi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Branch and Dongdaemun Design)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7.02
11P 미리보기
현대건축에 나타난 르네상스적/바로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뵐플린의 개념틀에 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6권 / 1호 / 142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인성

    초록

    본 연구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예술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으로 알려진 뵐플린의 개념틀들을 적용하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명료성과 불명료성의 구분은 현대건축의 열림과 닫힘의 문제와 연관되었다. ‘공원과도 같은 건축’을 표방한 서울관은 근대적 투명성을 극대화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졌지만, 그것이 실제의 ‘열림’으로 이어지는지는 의문으로 남았다. 바로크적 ‘은폐’에 대해 많은 비판을 받아온 DDP의 분석은 그러한 불투명성을 통해 스스로 생성되는 공간의 형상이 작동하는 방식을 밝히려 하였다.
    둘째, 평면성과 깊이감의 구분은 현대건축의 공간경험 문제로 다루었는데, ‘풍경으로서의 건축’과 ‘네트워크형 공간조직’을 내세운 서울관의 경우 오히려 깊이가 소멸한 ‘균질공간’의 극단화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음을 지적하였다. DDP는 외형적 차원의 깊이를 짚어본 뒤보다 궁극적인 ‘현상학적 깊이’를 통해 관람객이 공간과 합일하는 경험을 분석하였다.
    셋째, 완결적 형식과 개방적 형식은 건축에서의 형식문제와 연결되었다. ‘shapeless’를 표방한 서울관이 ‘순수건축’의 영역에 집착하면서 발견되는 한계를 지적하였으며, 건축적 ‘진실성’의 규율을 스스로 완화하며 빗물질적 펴면들로 건축을 생성하는 DDP의 방식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다원성과 통일성의 범주는 건축에서의 구성과 생성의 문제에 적용되었다. ‘군도형 전시장’을 주장한 서울관의 군도들이 ‘공공의 대양’에서 쓸쓸히 부유하게 될 위험을 지적하며, 오히려 그 둘 사이의 보다 역동적인 관계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DDP의 경우, 아래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기단과 위층의 금속 볼륨의 ‘경계’에 주목하여, 스스로의 내부로부터 발원한 형상이 주변의 환경과 진정을 대화를 만들어 내고 있음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했던 것은 서울관과 DDP의 차이가 국내와 국외, 혹은 직선과 곡선의 단순한 차이이기보다는, 보다 근원적인 근대 고전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그것이 극단화된 경향과 그것에 저항하고 극복하려는 시도 사이의 차이에 가깝다는 것이었다. 르네상스가 충분히 탐구되고 확립되어 임계점에 다다랐을 때 바로크가 등장하였다는 뵐플린의 주장을 새겨볼만한 대목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Renaissance and Baroqu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found in contemporary public buildings in Seoul, which ar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Branch(MMCA) and Dongdaemun Design Plaza(DDP). Among H. Wölfflin’s five categories for Renaissance-Baroque art study, four categories (Clearness/Unclearness, Plane/Recession, Closed form/Open form, Multiplicity/Unity) are applied for the analysis as the architectural issues of Opend/Closed, Spatial experience, Architectural form, and Composition/Generation. As a result, MMCA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eme of Modern classic such as transparency, homogenization of space, formalism, and composition of multiple elements. Meanwhile, the study could find various Baroque characteristics from DDP such as separation of indoor and outdoor, phenomenological depth, rule breaking, and generation of figure. The study finally argued that DDP would not be an anti-modern, but try to inherit and overcome the modern architecture to explore different possibilities, and that the similar relationship between Renaissance and Baroque art could be found in these two c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