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시권력들의 작용과 생명 정치 : 푸꼬의 권력분석틀과 아감벤의 근대 생명정치학 비판 (Micropowers and Biopolitic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8.09
45P 미리보기
미시권력들의 작용과 생명 정치 : 푸꼬의 권력분석틀과 아감벤의 근대 생명정치학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6호 / 169 ~ 213페이지
    · 저자명 : 양운덕

    초록

    서구 근대 주체의 신체와 생명에 관한 푸꼬의 미시권력 분석, 생명관리 권력bio-pouvoir과 그것을 잇는 아감벤의 생명 정치bio-politica는 어떤 관련을 갖는가?
    일상 공간에서 신체를 길들이는 규율절차들에 대한 분석은 ‘생명관리 권력’에 관한 분석으로 나아가는데, 그것을 새롭게 사고하려는 ‘생명정치’의 틀은 ‘예외 상황’에서 주권적 권력에 의해서 추방되고 수용소에서 모든 권리를 상실한 ‘자연 생명nuda nita’과 ‘희생당하는 인간homo sacer’을 주제화한다.
    규율 권력은 일상 공간에서 작용하는 지식-권력과 테크놀로지들의 작용이 근대 사회의 선험적 조건임을 제시하는데, 이와 맞물리는 생명을 관리하는 권력은 자연 생명을 권력의 배려 하에 두고자 한다. 생명정치의 틀은 수용소라는 예외적 상태가 정상적인 법, 정치 질서의 기반이고, 자연 생명zoē을 정치적 삶bíos으로 고양시키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사고가 어떻게 자연생명을 정치공동체에 ‘배제하는 방식으로 포함하는’ 지, 전체주의와 자유민주주의 모두가 어떻게 자연 생명을 권리의 원천이자 희생 지점으로 삼는지를 밝힌다. 생명 정치는 모든 곳을 잠재적인 수용소로 만들고, 살 가치가 없는 생명들을 제거하고, 건강과 치안의 이름으로 국민의 생명을 형태화하고, 실험용 인간들을 과학지식을 위한 도구로 삼는다.
    푸꼬는 계몽적 기획에 따르는 ‘능력과 자유의 역설’ 때문에 능력을 증대시키면서도 권력관계를 강화하지 않을 실천 형태를 모색한다. 그리고 자연 생명은 그것에 투자하는 권력의 대상이지만, 동시에 근본 욕구들과 권리들의 지향점, 권력에 대항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아감벤은 근대 서구의 정치 공간에서 자연생명이 ‘적절하게’ 정치화되지 않았다고 보고 자연생명과 정치적 삶bíos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How are Michel Foucault’s analysis of micropowers, “biopower” and Giorgio Agamben’s “biopolitics” related (regarding the body and the life of the modern western subject)? While Foucault’s analysis of disciplinary procedures that domesticate the body in everyday spaces leads to that of “biopower,” Agamben’s framework of “biopolitics,” which seeks to rethink biopower, thematizes the “bare life” (nuda vita) and the “sacred man” (homo sacer: who may be killed and yet not sacrificed), which have been exiled by sovereign power under “the state of exception” and have lost all rights in concentration camps.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demonstrates that the play of power-knowledge and technologies, which operate in everyday spaces, is the transcendental condition of modern society, and the power that controls life, which works in tandem with such a condition, seeks to subsume the bare life under the regulation of power. Compared with it, Agamben’s framework of biopolitics illuminates how the state of exception of concentration camps is the basis of normal legal and political order, how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since Aristotle, which politicize the bare life into the political life, has included the bare life in the political community as “an inclusive exclusion”, and how both totalitarianism and free democracy turn the bare life into the source of rights and the locus of their sacrifice. Biopolitics transforms all places into potential concentration camps, eliminates lives that does not deserve to live, gives form to the lives of a people in the name of health and public peace, and uses human guinea pigs(VP: Versuchspersonen) as the instruments of scientific knowledge.
    Foucault seeks to find a form of praxis that will enhance one’s ability but will not strengthen power relations, because of the “paradox of ability and freedom” ensuing from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 bare life is the object of power that invests in it yet, at the same time, it is the destination of fundamental desires and rights. Arguing that the bare life has yet to be politicized “appropriately” in the political space of the modern west, Agamben seek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bare life(zoē) and the political life(bi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