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마음공부의 확장적 논의를 위한 한 개념틀 ― 동태적 마음공부법을 위하여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 Extended Discussion of Mind Practice of Won Buddhism: For a Theory of Dynamic Mind Practic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7.06
44P 미리보기
원불교 마음공부의 확장적 논의를 위한 한 개념틀 ― 동태적 마음공부법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2호 / 183 ~ 226페이지
    · 저자명 : 이기흥

    초록

    근래 웰빙 및 힐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가 바야흐로 시대의 화두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마음공부법및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양산되고 있다. 태동기부터 생활 불교를표방했던 원불교 내에서도 그간 다양한 마음공부법이나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이 입안되어 적용되어 왔다. 다만 시대적 시대의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대내외마음공부법들 간에 소통과 대화의 요청이 점차 비등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필자는 본고에서 원불교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 프로그램들을 이론적으로 아우름과 동시에 대외적으로도 여타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론과의 소통창구로 사용될 수 있을 마음공부론적 이론틀 하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이론틀은 기본적으로 원불교 『원불교 교전』의 핵심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그 개념틀에는 원불교의 다양한 마음공부법 및 마음공부프로그램들이, 원칙적으로는, 재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 뿐이 아니다. 그 개념틀은 특정 종교의 색채를 띠지 않은 채 제3의 중립적인 언어로 기술되고 있어, 그 개념틀 속에는 원불교 마음공부법 외 다른 여타의 마음치유법이나 마음공부법들도 수렴될 수 있다. 그래서 그것은 원불교 마음공부법이나 마음공부 프로그램이 다른 여타 마음치유법이나 마음공부법들과 소통할 수 있는 이론적 광장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짧게 말해, 여기 제시되는 개념틀은 원불교의 마음공부법들과 여타 마음공부론 간의 소통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이론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이론틀의 제시와 함께 필자는 또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마음공부법적 원리 하나를 제안한다. 그것이 바로 동태적 마음공부법인데, 이는 원불교 일원상의 원리를 마음공부방법론적으로 적용해본 것이다. 이 마음공부법은 기본적으로 마음을 다양한 다른 각도, 다양한 다른 방향으로 역동적으로돌려, 요란하고, 어리석고 그른 마음에서는 부재하는 온전성을 다시 회복해 마음을 치유하거나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마음공부법이다. 필자는 이마음공부법을 정태적인 알아차림/마음챙김 중심의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법에대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영어초록

    Recently as the interest in well-being and healing is increasing,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has become a hot topic in modern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are produced. In Won Buddhism, which has declared to be a Buddhism in everyday life since its inception,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mental practice have been formulated and applied. However, with the situation of time, the demands for communication and dialogu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rties of Won Buddhism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area of mental practice.
    In view of this situation, I try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of mental practice. It is such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different theories of mind healing and mental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covering theoretical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s of Won Buddhism. This framework is fundamentally derived from the core content of Won Buddhism. And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s of Won Buddhism can in principle be integrated into this conceptual framework. In addi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is described in a third neutral language, which does not have the color of a particular religion. Therefore, other types of mind practices can be also integrated into this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sense, it could be a theoretical place where methods and programs of the mind practice of Won Buddhism and of other tradition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shor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here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spiritual practice of Won Buddhism on the one hand and the spiritual practice of other traditions on the other.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above-mentioned theoretical framework, I also propose a principle of mind practice, which can be used in different contexts.
    It is a methodological principle that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Il『Won-Wang", the guiding principles of Won Buddhism, to the mind practice.
    This method of mental practice is, in principle, a method of mind practice that heals the mind by turning and changing the mind in different angles and directions, restoring the originality that was lacking from the beginning.
    I present this concept of dynamic mind practice as an alternative to mind healing and mind practice that is based on static type of mindful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