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통을 활성화시키는 오피스의 공간구조 요소 도출을 위한 분석 틀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Analysis Framework for Deriving Spatial Structure Elements of an Office that Activates Communicati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08
14P 미리보기
소통을 활성화시키는 오피스의 공간구조 요소 도출을 위한 분석 틀 정립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5호 / 171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재영, 이재영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기업에 있어 창의성, 협업의 중요성과 기업구성원의 측면에서는 만남과 소속감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지속가능한 일터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인식으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오피스 건축에 있어 비공식적이고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건축 공간구조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 과정으로 관련된 이론 분석과 근거를 제시하여 분석과 검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공간구조 요소의 종합적인 분석 틀을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여 오피스 내에서 발생하는 소통에 대한 정의와 관련 연구의 경향을 고찰하고 다음으로 특히 비공식적인 소통과 관련된 연구 내용의 분석을 수행하여 계획적 요소를 정리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주요 과정으로 이론적 근거를 통해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구조 요소를 도출하고 세분화한 공간구조 요소와 소통적 특성을 종합하여 기초적인 공간구조 요소에 대한 분석 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비공식적 소통을 활성화하는 공간구조 요소를 크게 세 가지 요소 즉, 오피스 기준층 내에서 소통을 위한 수평적 공간구조 요소, 층간 연결 방식에 의한 수직적 공간구조 요소, 마지막으로 수평과 수직적 조합을 통해 발생하는 통합적이고 유목적인 움직임에 의한 소통을 활성화하는 통합적 공간구조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항목을 설정하였다. 우선 수평적 공간구조는 움직임에 따른 경로 및 영역 중첩, 공간의 연결구조, 움직임과 시각적 교류의 정도를 만들어 내는 공간의 위상의 세 가지 항목으로 세분하여 설정하였다. 다음 수직적 공간구조는 수직적 움직임의 연결 유형과 시각적 연결 유형으로 항목을 세분하였고 마지막으로 통합적 공간구조는 공간적 조정과 기능적 조정으로 세분하여 분석항목을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세분된 분석 항목에 대한 분석 내용과 방법 및 각 항목이 의미하는 소통적 특성을 밝히고 정리하여 종합적인 분석의 틀을 정립하고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소통을 활성화하는 계획적 요소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오피스의 기준층에 국한하여 업무공간의 레이아웃과 관련되거나 수직적 연결과 관련해서는 주로 보이드의 형태와 이용, 환경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지엽적인 연구대상과 계획요소에서 벗어나 보다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소통을 활성화하는 공간구조 요소에 대한 분석의 틀을 도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된 의의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은 건물 전체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소통의 활성화는 물론 건물 조건에 따른 적용에 있어 선택성을 가질 수 있어 적용성에 있어서도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for modern companies and the shift toward sustainable workplaces that are based on meeting and belonging in terms of corporate members. It followed a fundamental research process to derive architectural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that enable informal and daily communication in office architecture and presents relevant theoretical analysis and evidence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work of communication-enabling spatial structure elements. (Method)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to examine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in the office and the trends followed by related studies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tudie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informal communication, to organize the planning elements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study. Next, it derived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communicatio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established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basic spatial structure elements by synthesizing the subdivided spatial structure elements and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Results) The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informal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elements: horizontal spatial structure elements for communication within the office base floor, vertical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rough inter-floor connections, and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communication through integrated and nomadic movements that occu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vels. First, the horizontal spatial structure was subdivided into three items: the overlap of paths and areas based on movement, connectivity of space, and the phase of space that creates the degree of movement and visual exchange. Next, the vertical spatial structure was subdivided into vertical movement connection and visual connection types, and finally, the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was subdivided into spatial and functional coordination. This study then established and presented a framework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by revealing and summarizing the analysis content and methods for the subdivided analysis items and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planning elem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Most existing studies are related to the layout of the workspace and are limited to the base floor of the office or related to vertical connectivity, mainly focusing on the form and use of voids and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by deriving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patial structure elements that activate communication from a mor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individual research objects and planning elements. This integrated approach is significant not only in terms of overall communication activation involving the entire building but also in terms of applicability, as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building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