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림과 틀(frame): 뒤러의 <란다우어(Landauer)> 제단화> 다시 보기 (A Picture and its Frame: A Reconsideration of Dürer’s "Laudauer Altarpie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3.10
24P 미리보기
그림과 틀(frame): 뒤러의 &lt;란다우어(Landauer)&gt; 제단화&gt; 다시 보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2호 / 8 ~ 31페이지
    · 저자명 : 전한호

    초록

    미술사 연구는 이제까지 작품에만 주목했고 작품을 감싸는 틀(frame)에 대한 고찰은 부족했다. 특히 제단화의 경우 틀은 그림과 함께 계획되고 제작되었음에도 항상 논외의 대상이었다. 본 논문은 틀과 그림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여 뒤러의 <란다우어 제단화>를 재고해보고자 한다. <란다우어 제단화>는 기존의 고딕식 제단화의 호화로운 틀과 비교해 포탈 형태의 단순한 르네상스식 틀을 보여주고 있으며, 당시 유행하던 세폭 제단화의 전통을 거부하고 이탈리아 르네상스식 팔라(pala)의 형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북유럽 르네상스의 혁신적 걸작으로 꼽힌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and its frame in Laudauer Altarpiece. This work is the last altarpiece among the seven altarpieces by Albrecht Dürer(1471-1528), and is the first pala in Northern Europe. It is noteworthy for two reasons in the history of Northern European Renaissance. First, it did not employ the traditional form of winged altarpiece typical in the North. Secondly, the artist himself designed the frame as well as the picture. Especially, the frame of Laudauer Altarpiece has not only the portal shape but also the lunette, on which appears the depiction of "the Last Judgment." This implies that the frame functions not only as a decoration, but also provides the protection for the altarpiece, thus it has its own meaning and role in the altarpiece.
    Originally the Gothic style winged frame has the meaning of "church in church" and "holy place in holy place," whose shape resembles that of a gothic church. In contrast, the frame of Renaissance altarpiece was shaped as an aedicula or portal. At this point we can perceive that Gothic Altarpiece provides a closed space with a architectural frame, whereas the frame of Renaissance altarpiece leads to the picture of altarpiece. In other words, the frame of Gothic altarpieces is apt to strongly divide "sacred and profane," while Renaissance Altarpieces links the picture to the outside world.
    Therefore, we can reconsider Laudauer Altarpie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cture and the frame. It was placed in Zwölfbrüderhaus(the house of twelve brothers), which was a kind of shelter for the lone seniors. The theme of the altarpiece is the communion of saints(communion sactorum), which was described by St. Augustinus in his City of God ― a community consists of angels, saints, and prophets. We can also see the sponsor, his family, even the artist as the citizen of the New Kingdom of God in the main motif of the picture, "the Adoration of the Holy Trinity." The communion sactorum could provide a sure sign for the entering the Kingdom of God to the lone seniors of the house of twelve brothers. When they look at the frame of the Laudauer Altarpiece, they are led to the altarpiece ― the communion of saints ― by the frame work, which was “the Last Judgment.” In due course they prepare the death and the judgment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the altarpiece can make the viewers experience the future by way of describing the New Heaven and Earth after the last judgment, whereas the frame work shows the judgment of heaven and hell, with which they can perceive the irresistible future. The frame of Laudauer Altarpiece separates the space of picture from viewers, but at the same time connects the tw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