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Z세대 대상 복합문화공간 사용자 경험 비교 연구 - 하우스 도산과 누디트 익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Generation Z’s Mixed-cultural Space User Experience - Focusing on Haus Dosan and Noudit Ikseon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06
16P 미리보기
Z세대 대상 복합문화공간 사용자 경험 비교 연구 - 하우스 도산과 누디트 익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77호 / 65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서후, 김승인

    초록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한 복합문화공간의 주 고객층은 MZ세대이다. 이때 Z세대는 M세대와는 다른 소비 특성을 보이지만, 이를 분류하여 사용자 경험을 연구한 것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국내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및 Z세대의 소비 성향에관한 연구 183건을 메타 분석하여, 총 6가지 요인 범주(구조적, 시각적, 기능적, 사회문화적, 서비스적, 감성적)와 26가지하위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중 Z세대의 가치 소비에 특화된 13가지 요인(접근성, 미학성, 혁신성, 유연성, 참여성, 상호작용성, 감성성, 경험성, 즐거움성, 지속가능성, 환경성, 정체성, 독창성)을 선정하였으며, 사례 검증을 통하여 ‘하우스 도산(Haus Dosan)’과 ‘누디트 익선(Nudit Ikseon)’ 두 공간을 분석하고, 그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였다. 이때 두 공간 모두 방문한 경험이 있는 Z세대 60명을 대상으로 정량적 평가(온라인 구글 서베이)를 시행하였고, 이 중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론으로는 첫째, Z세대의 환경적, 가치적, 지위적 의식에 관련된 경험(경제적, 쾌락적, 상징적, 관계적)을 기반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의 사용자 경험 평가가 유의미하며 가능하다는 것, 둘째, 복합문화공간에서 문화 및 전시 장소의 혁신성보다 즐거운 소비 경험 및 경제성이 중요하다는 점, 셋째, 재방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범주는 감성적 요인이라는 점이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Z세대의 소비 특성에 주목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여 그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고, 구체적인 제안 사항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183 domestic research papers on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and the consumption tendencies of Generation Z, extracting a total of 6 categories (structural, visual, functional, socio-cultural, service-related, and emotional) and 26 sub-factors. Among these, 13 factors (accessibility, aesthetics, innovation, flexibility, engagement, interactivity, emotionality, experientiality, enjoyment,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integration, and identity creativity) were specifically chosen for their relevance to the value-driven consumption patterns of Generation Z. This study performed Case valid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user experiences at 'HAUS DOSAN' and 'NUDIT Ikseon'. A quantitative evaluation involving 60 members of Generation Z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Google survey, complemen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 that firstly, it is feasible to assess the user experience of multifaceted cultural spaces based on Generation Z's environmental, value-based, and status-related consciousness (economic, pleasurable, symbolic, and relational experiences). Secondly, within these spaces, enjoyable consumption experiences and cost-effectiveness are more crucial than the innovativeness of the culture and exhibition venues. Thirdly, emotional factors are the most significant in influencing revisits. Thu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ailoring user experience assessments to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offering concret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