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키트 제품의 선택 속성과 지속 가능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election Properties and Sustainable Design on the Meal-kit Produc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1.09
11P 미리보기
밀키트 제품의 선택 속성과 지속 가능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3호 / 465 ~ 475페이지
    · 저자명 : 한귀자

    초록

    본 연구는 밀키트 제품의 선택 속성과 지속 가능한디자인에 관한 연구로 밀키트에 대한 그간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밀키트 시장 확대에 따른 소비자의 선택적 속성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선호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성적인 연구로 밀키트에 관한 선행연구 및 내용에관하여 검토하였으며 정량적인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밀키트의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은 ‘건강 가치추구’, ‘품질 가치’, ‘식품 만족도’, ‘기대효과’, ‘가격’ 등의 5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 간의 상호 관련성은높게 나타났다. 그중 ‘기대효과’와 ‘가격’ 등의 관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건강 가치추구’, ‘기대효과’가 높은 반면 기혼은 ‘가격’에 높은 가치를부여하였다. 직업군으로는 주부는 ‘건강 가치추구’를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학생은 ‘가격’이 가장높은 요인이고 ‘식품 만족도’가 가장 낮은 요인이었다.
    브랜드 인식도는 ‘이마트 피코크’, ‘프레시지’, ‘CJ쿡킷’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밀키트의 선호 디자인은 과도한 포장과 개별화된플라스틱보다는 종이 재질의 진공 포장과 재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인식 또한 일회용품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의 종이와 재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과감하게 과대포장을 줄이거나, 다시 제품 일부를 재활용하거나 환경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가공, 재처리를 요구하는 디자인 방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의 밀키트 시장에서의 종이 제품 사용, 생분해재질의 비닐, 물을 활용한 아이스팩, 재활용 아이스백 등 업계에서도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움직임과 노력이 있다. 이는 지속가능성이 사회적인 이슈로대두되어 소비자의 인식이 사회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제 더 이상 소비자는 단순히 밀키트를 구입하고, 소비하는 단순 참여자의 역할이 아닌 기업과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책임을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주체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represents the selection properties and sustainable design of meal-kit products. The purpose of thesis i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the consumers’ selective attributes and sustainable design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meal-kit market by referring to previous papers on meal-kits.
    As a qualitative method, previous studies and contents of the meal-kit were reviewed o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factors for the selection attribute of the meal-kit were extracted into five factors such as ‘the pursuit of health value’, ‘the quality value’, ‘the food satisfaction’, ‘the expected effect’, and ‘pri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as high.
    Among them, ‘the expected effect’ and ‘price’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correlation.
    In terms of marital status, unmarried people had higher ‘the pursuit of health value’ and ‘the expected effect’ compared to married people, whereas married people gave higher values to ‘price’. As the occupational group, housewives considered ‘the pursuit of health valu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reas for students, ‘price’ was the highest factor and ‘food satisfaction’ was the lowest.
    Brand recognition was highest in the order of ‘E-Mart Peacock’, ‘Fresheasy’ and ‘CJ Cookit’. As for the preferred design of the meal-kit brand,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paper-based vacuum packaging and recyclable designs rather than excessive packaging and individualized plastics. Through these results, consumers’ awareness also shows that they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and prefer eco-friendly paper and recyclable designs including the reuse. However, the sustainable design directions require reprocessing should be considered.
    There are movements and efforts to minimize waste considering the eco industry, such as the use of paper products in the current meal-kit market, biodegradable plastics, water-based ice packs, and recycled ice bags. It is interpreted that sustainability is also a social issue, and consumers’ perceptions affect social values.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are no longer the role of simple participants who purchase and consume the meal-kit products, but have become the subject of sustainable design that draw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compan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