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작에서 실천으로: 1970년대 미공투 REVOLUTION 위원회의 영상 작업 (From ‘Production’ to ‘Practice’: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s Moving Image Works in the 197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1.05
26P 미리보기
제작에서 실천으로: 1970년대 미공투 REVOLUTION 위원회의 영상 작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7호 / 286 ~ 311페이지
    · 저자명 : 박혜연

    초록

    1970년에 타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学) 재학생인 호리 코사이(堀浩哉, 1947-)와 히코사카 나오요시(彦坂尚嘉, 1946-)의 주도로 결성된 미공투 REVOLUTION 위원회(美共闘REVOLUTION委員会)는 작업을 통한 미술 표현에 내재된 미술의 근원적인 제도성을 비판하였다. 미공투 위원회의 작가들은 60년대 말 ‘제작의 상실’ 이라는 모더니즘 미술의 위기 앞에서 그들의 선행 세대인 일본개념파(日本概念 派)와 모노하(もの派)가 제작을 회피하고 관념주의 미술을 지향한 것을 비판하며 개인의 자율적인 표현 행위로 여겨졌던 ‘제작’을 집단이 주체가 되어 일상적인 삶의 공간에서 행하는 사회적인 노동, 즉 ‘실천’으로 변환하였다. 미공투 위원회에 대한 기존 미술사학계의 논의는 1970년대 후반 회화 매체를 이용한 작업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의 영상 작업은 “표현 이전, 예술 이전”의 과도기적인 중간 단계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은 미공투 위원회의 영상 작업을 중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기존 해석과는 반대로 당시 그들의 작업이 일상적인 삶의 장소에서 이미 구체적인 예술 표현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주장한 글이다. 또한 영상이라는 매체가 “지금, 여기”라는 구체적인 시·공간의 토대 위에 미술을 위치시키고자 했던 미공투 위원회 작가들의 작업에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본 논문은 학술적으로 조명하였다.

    영어초록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 was organized in 1970 by artists Hori Kōsai (1947-) and Hikosaka Naoyoshi (1946-), who were students at Tama Art University in Tokyo. They recognized that artistic expression itself was fundamentally linked to the institutionality of art and sought to critique the structural problem of “art as institution.” They criticized that the Japanese conceptualists and Mono-ha, faced with the crisis of modernist art in the late '60s, avoided “making” by taking a contemplative approach to art. Instead, they sought to transform “production,” which was considered an individualistic and autonomous activity, to “practice,” a collective form of social labor that unfolds in the space of everyday life. Art historical scholarship on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 has focused on the artists’ painting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70s, while relegating their moving image works in the first half of the decade as a transitional period of “pre-expression, pre-art.” Contrary to this evalu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group's moving image works in the first half of the decade and argues that they had already appeared as concrete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that unfolded 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of daily life. Furthermore, this paper demonstrates how moving image media provided a theoretical and praxis-oriented foundation to the work of Bikyōtō REVOLUTION Committee, which sought to position art firmly on the grounds of the “here and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