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을 통해 본 투호례의 수용과 변화양상 - 조선왕실의 투호례를 중심으로 - (Acceptance of Tuhorye and its developments through various literature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12
50P 미리보기
문헌을 통해 본 투호례의 수용과 변화양상 - 조선왕실의 투호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64호 / 393 ~ 442페이지
    · 저자명 : 육수화

    초록

    이 연구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우리나라 투호례의 수용과 변화양상을 추적해 보고자하는 목적을 두었다. 투호례는 중국의 귀족들이 향유하던 귀족문화로 예교적 성격을 띤 것이지만 유희적인 요소도 아우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미 투호가 유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예교적인 성격보다는 유희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예종대에 이르러 투호를 의례화 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보급하려 하였으나, 실제로는 그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다. 투호가 심신의 수양과 덕성의 함양이라는 예교적 성격을 띠면서 왕실은 물론 사대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의례로 온전히 보급된 것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가능하게 되었다.
    세종은 일찍이 투호를 심신수양과 덕성함양을 위한 도구로 인식하고 그 효용성을 높이 평가하여 왕세자의 교육에도 활용하였다. 성종은 연회 때 투호하는 방법과 절차 등을 의례화 하였고, 종친들과 의빈들을 대상으로 강경과 제술 그리고 투호를 시험하여 우등한 사람에게 한 자급씩 품계를 올려주는 것을 법제화 하기도 하였다. 처음 투호례는 종친 간의 화목을 위한 왕실구성원들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나 세조대에 이르러 군신 간의 화합을 위한 장으로 확대되면서 고위 관료들 또한 왕실의 투호례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것이 투호례가 사대부의 문화로 확대될 수 있는 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투호례는 조정에서 연로한 고관들을 위해 베푸는 기영회나 기로회에서도 시행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trace back to Korea's acceptance of Tuhorye and its developments through various literatures. Tuhorye originated from an aristocratic culture, which the nobility in China enjoyed, and embraces not only its characteristics as a field of teaching manners and etiquette, but some aspects of play. South Korea has records which show the popularity of Tuho back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 testament to its recognition as a form of play, rather than something to be taught for good manners. King Yejong of Goryeo formalized it to make it more popular and widespread, but eventually failed to achieve the goal. It was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Tuho became fully popular as a rite throughout all classes, ranging from the royal family to the nobility, as it focused on the aspects of teaching manner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s and cultivation of moral virtues.
    King Sejong of Joseon recognized Tuho as a tool for physical and mental improvements and fostering of virtues, and thought highly of its usefulness enough to make it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King Seongjong formaliz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uho, used for banquets, and legalized an advancement of the official rank by one notch for those, who outperformed in a test on the reci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literary composition and Tuho for the royal family and their spouses. Tuhorye belonged only to members of the royal family for their stronger unity and harmony. However, its role had been expanded in the period of King Sejo to serve as a venue for the ruler and the ruled to form and maintain their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high-ranking officials starting to participate as well. This seems to be a turning point for Tuhorye to expand its scope and be incorporated into the cultures of the nobility. Later, Tuhorye was performed at the royal court during giyeonghoi, a ceremony prepared for the old high-ranking officials to pay respect to their old age, or girohoi, a meeting with retired offic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