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n Japanese Imperialism's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1.12
62P 미리보기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일제강점기 한국 행정구역 변화의 상세한 학술적 분석 제공
    • 📊 구체적인 통계와 데이터를 통한 체계적인 연구 접근
    • 🔍 일본 제국주의의 행정 통폐합 전략에 대한 심층적 이해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5권 / 163 ~ 224페이지
    · 저자명 : 이건식

    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임시토지조사국의 기관지인 『局報』를 검토하여, 『局報』에서는 ‘경기(2부, 18군), 충남(23군), 충북(7군), 전남(3군), 경북(1부, 34군), 경남(2군), 평남(6군)’ 등 모두 2부 94군 지역의 통폐합 전의 동리 명칭과 통폐합 후의 조사된 명칭이 게재되었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행정구역 통폐합의 결과는 1914년 4월 1일 실시되었으며, 군의 수 317개에서 220개로, 면의 수는 4,322개에서 2,521개로, 동리의 수는 54,469개소에서 24,262개소로 축소 개편되었음을 언급하였다.
    한국 행정 구역 통폐합과 명칭 변경 관련 규정 자료를 언급하고 이들의 내용이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이러한 규정 자료를 검토하여 한국 행정 구역 통폐합이 한국의 토지 경제권을 장악하기 위한 일본 제국주의 이익 실현을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행정 구역 통폐합 변경 규정에는 하나의 동리를 분할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그러한 원칙을 지키지 않았음을 언급하였다. 특히 일본식 행정 구역 명칭을 새로이 정할 경우에는 기존의 동리가 분할되는 경우가 많음을 지적하였다.
    시가지 계획이 추진되고 또 시가지로 재편되는 지역이 늘어나고, 시가지의 영역이 확산함에 따라 일본식 행정 구역 명칭이 유입되고 확산하였음을 언급하였다. 1913년에 추진된 29개 시가지 지역의 동리 명칭 중에서 72.3%가 일본식 행정 구역 단위 명칭인 ‘町, 通’ 등을 사용했으나 1939년에 이르러서는 29개 시가지 지역의 동리 명칭 중에서 일본식 행정 구역 단위 명칭 사용 비율이 79.44%로 확대되었음을 언급하였다.
    일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동리 명칭은 전부 요소나 후부 요소 모두 일본식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일본인이 거주하지 않는 지역은 전부 요소는 한국의 전통적인 명칭을 사용하고 후부 요소는 일본식 町을 붙여 사용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d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n Japanese imperialism’s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by investigating “Guk-Bo” which is the periodical of Temporarily Estate Survey Bureau, this study found the fact that “Guk-Bo” presented all the names including 2 parts and 94 gun before and after the consolidation and abolition concerning ‘dongri,’ which were ‘Gyeogi (2parts, 18 gun), Chungnam(23 gun), Chungbuk(7 gun), Jeonnam(3 gun), Gyeongbuk(1 part, 34 gun), Gyeongnam(2 gun), Pyeongnam(6 gun), and etc.’ The consolidation and abolition concerning these administrative districts was implemented on April 1, 1914. The results showe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districts: the number was reduced from 317 to 220 in gun, from 4,322 to 2,521 in myeon, and form 54,469 to 24,262 in dongri.
    This study examined the relevant regulation data concerning the name change and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was mentioned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their contents. By investigating these regulation data, this study justified that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intended to realize their profits to take control of the Korean land economy through the consolidation and abolition of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changed regulation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t was mentioned that the rule of not dividing a single ‘dongri’ was put up, but in reality, the rule was not kept.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dongri’ was frequently split up when the name of the Japanese administrative district was newly designated.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Japanes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flowed into and spread by carrying forward the urban plan, increasing the phenomena that some districts were reorganized into urban districts, and the urban districts expanding.
    When the plan was implemented in the 29 urban districts in 1913, in 72.3% among the names of ‘dongri’ was used the name of Japanese-typ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such as ‘jeon, tong’. However, by 1939, the proportion in using the names of Japanese-typ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expanded up to 79.44% in naming ‘dongri’ in the 29 urban districts.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names of ‘dongri’ in the districts which the Japanese live in contain all Japanese type elements which are the front and the back parts, but in the district which the Japanese do not live in, all elements contain traditional Korean names at the front part and ‘jeon’ is used, which is the Japanese ty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