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 톰블리(Cy Twombly 1928-2011)의 레판토(Lepanto) 연작 (Cy Twombly’s “Lepanto Cyc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2.12
39P 미리보기
사이 톰블리(Cy Twombly 1928-2011)의 레판토(Lepanto) 연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39호 / 294 ~ 332페이지
    · 저자명 : 김재원

    초록

    2001년, 제 49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황금사자상(Leone d'Oro for Lifetime Achievement) 수상작가로 선정된 사이 톰블리는 12개의 대작(210.8-217.2 x 287.7-340.4cm)으로 구성된 레판토 연작을 새로 제작하여 비엔날레에 출품하였다. 추상표현주의 작가로 분류되는 미국 태생의 톰블리는 널리 알려진 바대로 고전적이고 주관적인 주제의 작품을 주로 제작하였다. 그는 연필로 그려지거나 쓰여진 섬세한 선들, 서툰 글자들, 다양한 색채의 각양각색의 낙서처럼 보이는 형상들, 그리기-지우기-덧칠하기 등의 다채로운 조형적 요소들을 차용하여 표현하는 독자적 추상세계를 구축해 왔다. 특히 그의 그리스, 로마의 역사와 신화 그리고 고전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과 해박한 지식은 그가 1957년 이탈리아로 이주해 온 이후의 작품들에서 잘 드러난다. 1977년 호머의 일리야드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10개의 작품으로 이루어진 ‘일리암에서의 50일 (Fifty Days at Iliam)’ 연작을 시작으로 과거의 역사적 사건이나 신화를 주제로 하여 대작들로 구성된 기념비적 연작들을 제작하였다. 레판토 연작도 이러한 맥락에 속하는 역사화이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종교적 갈등으로 대립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 양 문화권의 지난한 갈등의 역사 속에서 베네치아 공국에 감격적인 첫 승리를 안겨준 레판토 해전을 주제로 그는 베네치아 비엔날레 출품작을 제작하였다.
    레판토 해전은 베네치아 공국이 1489년부터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던 사이프러스(Cyprus)섬을 1570년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이 점령함에 따라 영토분쟁이 야기되었고, 1571년 베네치아의 입장을 지지하여 구성된 그리스도교 신성동맹군(Holy League)과 이슬람교의 중심이었던 오스만 제국사이의 전쟁으로 확대되면서 종교전쟁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그리스도교 신성동맹군은 베네치아 공국의 지원요청을 받아들인 교황청을 중심으로 하여 베네치아 공국, 베네치아의 입장을 지지하는 스페인 왕국, 제노바 공화국, 사보이 공국 등 9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베네치아와 나폴리, 스페인 등의 갤리선을 주력으로 한 신성동맹군은 1571년 8월 메씨나(Messina)에 집결하였고, 10월 7일 코린트 만(灣) 레판토 앞바다에서 오스만 군과 격돌하였다. 신성동맹군의 집중 공격을 받은 오스만군의 총지휘관 알리 파샤(Ali Pascha)가 전사하면서 전세는 급격히 기울었다. 이 전쟁은 역사적으로 보면 19세기까지 일어난 전쟁 가운데 단 5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에 가장 많은 전사자를 냈던 전쟁으로 기록될 정도로 유례없이 치열했던 전투였다. 그리하여 10월 7일은 베네치아 공국의 국경일로 선포되었고, 가톨릭교회도 이 날을 축일로 제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감동적인 경험은 많은 예술작품에 반영되기도 하였는데, 예를 들면 이 전쟁에 직접 참전했던 스페인의 작가 세르반테스는 이 전투에서 왼쪽 팔을 잃는 쓰라린 상처를 입었으나, 참전경험을 그의 대표작 돈키호테에 생생하게 담아내었다. 베네치아 화가 틴토레토, 베로네제, 티치아노, 스페인의 엘 그레코 등 가톨릭국가의 많은 화가들도 레판토 해전에서의 승리를 작품으로 영구히 남겼고, 이 승리에 고무된 유럽 가톨릭 국가의 교회공간에도 빈번히 등장하는 주제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머지않아 다시 지중해의 패자로 떠오르지만 더 이상 유럽으로의 해상진출을 꾀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레판토 해전의 승리로 서지중해에서의 그리스도교 세력은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톰블리는 물론 레판토 해전의 역사적 의미나 베네치아 공국의 영광스런 승리로 마무리된 힘겨웠던 전쟁이었음을 염두에 두고 베네치아 비엔날레 출품작의 주제로 택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과거의 전쟁화와는 다르게 톰블리의 레판토 연작에는 아군도 적군도, 승자도 패자도, 생사(生死)를 가르는 전투 장면도, 종교적 감동도 보이지 않는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톰블리가 이 연작을 통하여 무엇을 표현하려 한 것인지를 살펴보았고, 나아가서 그의 추상회화에서 보이는 것과 이야기될 수 있는 것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톰블리의 레판토 연작과 같이 추상으로 그려진 역사화에서 과거의 사건에 대한 기승전결의 서사적 전개는 기대할 수 없다. 다만 그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조형적 요소들과 특성들을 토대로 해전의 격정적 시작과 정점을 향한 치열한 공방 그리고 피비린 내나는 종결이라는 전투의 보편적 진행상황에 기초하여 막연하게 상상할 수 있을 뿐이다. 작품 속에서 보이는 대상들을 작품제목과 연결하여도 모호한 느낌이외에 명쾌하게 이야기되기 어려운 이러한 조형적 특성을 드러내는 톰블리의 작품은 뵘(Gottfried Boehm)이 주장하였듯이 감상자의 내면적 눈으로 바라보고 스스로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암시된 의미를 파악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톰블리 작품에서 보이는 것에 내재되어 있는 것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감상자 각자의 주관적 성향에 따라 다양한 분석과 다원적 해석의 가능성이 항상 열려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이러한 다양한 분석과 다원적 해석의 가능성은 각 개인의 주관적 상상의 세계를 더욱 섬세하고 풍요롭게 이끌 것이다. 톰블리의 레판토연작은 제 49회 베네치아 비엔날레를 계기로 베네치아인에게 그리고 유럽인들에게 감격적인 영광을 가져다 준 과거의 승전을 기억하도록 유도하면서 거대한 축제의 장을 여는 화려하고 거창한 감성적 제안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2001 Cy Twombly (1928-2011) awarded at the Venice Biennale as an artist of “Leone d’Oro for Lifetime Achievement” presented twelve-panel “Battle of Lepanto” in a greater format of size 210.8–217.2 cm x 287.7-340.4 cm. He was an American artist well known for many classical myths and allegories in his works. He invented his own abstractive world through his peculiar descriptive method of freely scribbling, calligraphic-style graffiti, awkward alphabets and fine-drawn lines by pencil.
    Particularly his profound learning and keen interest in the mythology and history of ancient Greece and Roman empire were clearly reflected in his works after he moved to Italy in 1957. In 1977(78) he worked on the monumental historical ensemble “Fifty Days at Iliam”, a ten-part cycle inspired by Homer’s Iliad. Since then he continued to draw an historical events and myths. Twombly’s painting on the Battle of Lepanto could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 Battle of Lepanto took place on 7 October 1571 when a fleet of the Holy League, a coalition of southern European Catholic marine states lead by the Republic of Venice, defeated the main fleet of the Ottoman Empire in five hours of fighting on the northern edge of the Gulf of Corinth, off western Greece. The Christian coalition had been promoted by Pope Pius V to rescue the Venetian colony of Famagusta, on the island of Cyprus,which was being sieged by Turks in early 1571.
    The members of the Holy League were Spain (including 3 kingdoms),the Republic of Venice, the Papacy, the Republic of Genoa, the Duchy of Savoy and the Knights Hospitaller. The forces of the Ottoman Empire consisted of sailors generally drawn from the maritime nations of the Empire, namely Berbers, Greeks, Syrians, and Egyptians. An advantage for the Christians was their numerical superiority in manpower, guns and cannons aboard their ships.
    The battle was stark characterized by confrontation between the Catholicism and the Islamism. Some western historians have held it to be the most decisive naval battle anywhere on the globe since the Battle of Actium of 31 BC. The victory of the Holy League was historically important because it heralded the end of Turkish supremacy in the Mediterranean. Although the Ottoman Empire shortly restored its hegemony in the Mediterranean, the victory secured the Christian states freedom to mov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The significance of Lepanto Battle has inspired artists in various fields.
    The Spanish writer, Miguel de Cevantes, who fought in the battle and lost his left arm, wrote down his experiences in the novel “Don Quixote”.
    There are many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battle, including one in the Doge’s Palace by Andrea Vincentino, Tintoretto’s “Victory of Lepanto”, a painting by Paolo Veronese in Venice and Titian’s “Allegory of the Battle of Lepanto” in Madrid. The battle scenes appeared often in the ornaments of the Catholic churches to celebrate the victory against the Islamism.
    Cy Twombly would have worked on the Battle of Lepanto presenting to the Venice Biennale in order to connect today’s Venice with the historical victory of the old Republic of Venice. But in the Twombly’s serial paintings of Lepanto Battle there are shown no scenes differing the friend and the enemy soldiers, the victors and the losers, no fighting scenes for life and death, no religious emotions, as usually seen in the depicting paintings of war. This unexpectedness drives the author to look into his work. So the author handled in this paper what Twombly tried to express through his serial works of Lepanto Battle, and further searched for a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what to be seen in the abstract paintings.
    We could not expect a descriptive explanation of story-telling in the historical and abstractive paintings like Twombly’s works on Lepanto Battle. Through the figurat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found in his works we could imagine a general scene of battle which has passionate beginning of war, fierce offense and defense struggle during war and bloody ending after war. We would find that Twombly’s works be marked by ambiguous feelings and unclear explanations, although we try to understand them by connecting their titles. We can’t help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 through our eyes of mind inspired by our imaginative power.
    Therefore, his works would be open to various critics and multi-dimensional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appreciator’s subjective disposition.
    To interpret or analyze in various ways what to be seen in Twombly’s works would make richer and finer our world of imagination. His works for the 49. Venice Biennale gave Europeans and Venetians momentum to remember the glorious victory. It was a emotional suggestion to make a grand opening for the festiv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