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컬러 및 톤의 인지도에 따른 컬러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Colo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lor and Tone Perception by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0.12
11P 미리보기
대학생의 컬러 및 톤의 인지도에 따른 컬러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권 / 4호 / 557 ~ 567페이지
    · 저자명 : 한정아

    초록

    21세기 다양성을 중시하며, 자신을 표현하는데 적극적인 20대들은 동조성과 개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자신의 외모관리와 개인의 이미지 형성에 적절한 컬러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또한 개인의 결점을 보완하고자 본인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컬러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시각전달은 형태와 색채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인간은 형태보다 컬러를 강하게 기억하므로 소비자의 87%는 시각에 의존해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강하다. 뷰티와 패션에 있어서 컬러의 비중은 매우 크고, 특히 강한 시각적 호소력과 더불어 상품 성격이나 유행의 경향, 이미지 등을 컬러로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적절한 두 가지 이상의 컬러 및 톤의 조화로 서로 돋보이게 하거나, 조화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효과를 상승시킨다. 개성의 시대에 자신을 표출하는 뷰티 및 패션코디 컬러는 그 시대의 유행과 생활관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또한 컬러는 마케팅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소비자들에게 인지를 향상시켜 선택을 유도한다. 이는 컬러가 지닌 연상과 상징의 도구를 통해 인지하는 순간부터 적절한 컬러사용에 의해 상품선택 시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컬러의 감성은 이처럼 다른 문화, 환경 또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편성을 지니기에 사용자의 니즈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컬러와 톤에 대한 인식과 컬러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현재와 미래의 뷰티 및 패션 컬러 코디네이션에 필수적인 관련 산업 기술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현재 많이 미비된 컬러 교육현실 속에서, 쉽게 인지되지 못했던 컬러와 톤에 대한차이의 인식을 재정립하여 컬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써 새로운 컬러와 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이해하고 컬러 트렌드 및 배색에 필요한 이론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하며 컬러에 민감하고 빠르게 반응하는 20대의 선호 컬러 디자인 개발 및 글로벌 컬러 마케팅 기회 창출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Visual Image in the 21st century, the expression of the color & tone is composed by the characteristic preferring color consideration of the modern variou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culture from the personality, conformity processes, and systems.
    The new phenomenon related in visual trend such as color or shape i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various lifestyle and the increase in the sentimental elements of commodities. The consumer’s 87% choices are depend on the visual communication tool such as color and tone.
    The Colors of personal image expression are the most effective visual elements for showing oneself and personality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Color is the most powerful tools in showing the visu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 image making and self-image expression The empirical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of color application between color and tone perception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This questionnaire presents the necessary of scientific color education which helps to improve personal color image, and to extracted according to color perception and education. The colors system was analyzed by KS 15 Hues and 12 tone classification of 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through the color education depending on the color and tone. It can be presented to analyze the color & tone’s preference the recent and future technical tendencies of related color planning beauty and fashion industry including domestic and global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Main scopes of this thesis are formed with definition of necessary color education, qualification of the general and basic character of color education, and analyses of technical demanding and tendency with color perception.
    This thesis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or planning and color designs based on the important color and tone perception and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color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visual tre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