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독립문제에 대한 영국 정치인 노엘 벅스톤(Noel Buxton)의 인식과 반응 (Perceptions of the British Politician Noel Buxton on the Issue of the Korean Independence and its Response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3.11
50P 미리보기
한국의 독립문제에 대한 영국 정치인 노엘 벅스톤(Noel Buxton)의 인식과 반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4호 / 67 ~ 116페이지
    · 저자명 : 남슬기

    초록

    이 글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평화주의운동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고조되고 영일동맹에 대한 재평가가 있었던 1922년에 집필된 노엘 벅스톤(Noel Buxton)과 토마스 필립 콘웰-에반스(Thomas Philip Conwell-Evans)의 공저 『Oppressed Peoples and the League of Nations』에서 노엘 벅스톤이 한국의 상황을 검토한 내용을 살펴보고 그의 활동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엘 벅스톤은 한국인의 주권을 인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독립보다는 일본제국 내에서의 자치를 해법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그가 한국의 완전한 독립은 정치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은 영국의 아일랜드 통치에 대한 그의 평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식민통치방식을 비판하고 한국의 독립문제를 거론한 노엘 벅스톤의 활동에 대해 영국성공회 한국선교부(트롤로프 주교와 『Morning Calm』 편집인)과 일본정부의 대변인이라 할 수 있는 토마스 바티(Thomas Baty)가 각각 상반된 논평을 냈는데, 이를 통해 각자의 이해관계 속에서 한국의 독립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상이했음을 확인하였다.
    노엘 벅스톤이 일본의 한국통치방식의 불의(不義)와 잔인성에 대해 비판을 가한 만큼, 그는 영국의 역사적 책임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그는 1902년의 영일동맹이 한국을 식민지로 전락하게 한 초석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영국 또한 한국에게 책임이 있다는 영국책임론을 주장하였다. 1920년대 초부터 노엘 벅스턴의 주장에 호응하였던 영국 정치인 닐 맥클레인(Neil Maclean)은 한국의 독립문제에 대한 영국책임론을 영국의회에서 제기하였다. 그는 1943년 카이로회담 이후에도 의회 내에서 영일동맹과 연계하여 한국의 독립문제를 제기한 유일한 인물이었다. 이들의 주장은 영국 정치계에서 주류가 되지 못하였지만, 이를 통해 영일동맹은 단순히 영국과 일본 각각의 이해관계의 합치 결과로 이어진 조약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일제의 한국 식민통치의 부당성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British politician Noel Buxton(1869-1948)’s examination of the situation of Korea in his co-authored book with T. P. Conwell-Evans(1896-1968) Oppressed Peoples and the League of Nations published in 1922, at a time of heightened global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Peace Movement and re-assessment of the Anglo-Japanese Alliance following World War I. As a former Liberal who joined the Labour Party, Noel Buxton was a widely respected political figure and hi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Korean Independence is unusual its depth of its analysis.
    Whilst Buxton recognised the sovereignty of the Korean people, he ultimately advocated ‘Home rule’ within the Japanese empire rather than full independence, since he regarded this as the limit of what could be achieved politically. In many ways, his views of Korea were profoundly shaped by his assessment of British rule over Ireland. Further light on both the idealism and sophistication of Buxton’s perceptions is shed by a consideration of two other contrasting English responses to Japanese colonial rule: those of Mark Trollope(1862-1930) as Bishop of the Church of England Mission in Korea and Thomas Baty(1869-1954) as a commentator on international law and Japan’s Foreign Legal Advisor.
    If Buxton was unequivocal in his assessment of the injustice and brutality of Japanese rule over Korea, he was equally critical of British historical culpability, seeing the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2 as indicative of the iniquity of the alliance and a key factor in giving the Japanese a free hand. This view, namely ‘Britain’s responsibility’ for Korea was echoed by the British politician Neil Maclean(1875-1953), who from the early 1920s supported Noel Buxton’s position and again raised Korean Independence issue in the House of Commons after the Cairo Conference declared Allied support for liberating the Korean people. It is true that the voices of the likes of Buxton and Maclean on Korea were not part of the mainstream of British political debate. In spite of that, this suggests that the Anglo-Japanese Alliance is not merely a result of the interests of Britain and Japan but also serves as a basis to demonstrate the injustice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