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강한 청년 성문화 조성을 위한 ‘성(性)장톡’ 소통 툴킷(Tool-Kit) 개발 -정부⋅대학⋅기업 연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uple Growthtalk’ Communication Toolkit to Create a Healthy Youth Sexual Culture -Focused on Government, University, and Company Collaboration-)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2.12
19P 미리보기
건강한 청년 성문화 조성을 위한 ‘성(性)장톡’ 소통 툴킷(Tool-Kit) 개발 -정부⋅대학⋅기업 연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8권 / 4호 / 273 ~ 291페이지
    · 저자명 : 이예나, 이하은, 구유리

    초록

    성적 의사소통을 금기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청년들은 적극적인 피임을 요구하지 못하는 등 성적 자기주장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원하지 않은 임신과 인공유산 경험, 준비되지 않은 성교로 인한 성매개성 질환 발생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청년의 올바른 성적가치관의 형성과 건강한 성적 의사 결정을 내릴 수있는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청년 성문화의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성교육 현황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그리고코크레이션 워크숍을 진행하여 수요자가 생각하는 현성문화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성문화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인청년 성문화의 개선 필요 영역을 종합하여 행동 매핑에 따라 5명의 퍼소나를 설계하고 여정 맵을 제작하였다. 여정 맵에서 도출한 퍼소나의 페인 포인트를 바탕으로 진단하기, 확립하기, 연습하기, 계획하기 4단계의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워크북 형태의 ‘성장톡’ 툴킷을 제작하였다. 툴킷은 성적 가치관을 성립하기 위한 활동과 성적 의사 결정을 위한 활동으로 총 4가지 단계로 구성되며, 연인 간 성적 의사소통 향상에 중점을 두어 제작하였다. 둘째, 서울시거버넌스 사업의 지원을 통해 접근성이 용이한 모바일 웹 형태의 ‘성장톡’ 툴킷을 실제 구현하였으며, SNS 공유기능을 통해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성장톡’ 홍보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기업과 협업하여청년들의 참여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청년성문화의 성적 의사소통 문제를 발견하고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솔루션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정부-기업-개인이 협업하여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청년이 주체가 되어건강한 청년 성문화를 위해 실제 프로토타입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에 청년의 행복과 안전이 구현되는 건강한 성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Due to the social atmosphere that neglects sexual communication, young people are having difficulty in sexual self-assertion, such as not being able to demand active contraception. These difficulties cause social problems such as unwanted pregnancy, experience of artificial abortion, and the occurrence of sexual mediated diseases due to unprepared sexual intercourse.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correct sexual values of young people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make healthy sexual decision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review of youth sex culture,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sex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co-creation workshops were conducted to set the problem of sex culture and desirable direction of sex culture.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specific areas for improving youth sex culture were confirmed.
    By synthesizing the previous survey, five personas were designed according to behavioral mapping and a journey map was produced. Based on the pain points of the persona derived from the travel map, a four-step process was established to diagnose, establish, practice, and pla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uple Growthtalk.’ toolkit in the form of a workbook was produced. The toolkit consists of four stages: activities to establish sexual values and activities for sexual decision-making, and was produced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sexual communication between lovers. Second, through the suppor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overnance project, the ‘Couple Growthtalk.’ toolkit in the form of an easy-to-access mobile web has been actually implemented, and it can be expected to spread through the Kakao Talk sharing function. Third, for the ‘Couple Growthtalk.’ toolkit, we tri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by producing promotional videos in collaboration with companies.
    Based on the previous text,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discovered sexual communication problems of youth sex culture that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and derived solutions through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a real prototype for a healthy youth sex culture was implemented by the collaboration of government-company-individual through the Bottom- Up method that young people work as a main body.
    This is expected to help the growth of a society of healthy sex culture where the happiness and safety of young people are realiz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