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테로토피아’적 지성, 90년대 시적 주체의 한 갈래(1) -장정일을 중심으로 (‘Heterotopic’ Intelligence, A Branch of The Poetic Subject in the 1990s(1) - Focusing on Jang Jung-il)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2.09
51P 미리보기
‘헤테로토피아’적 지성, 90년대 시적 주체의 한 갈래(1) -장정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7호 / 5 ~ 55페이지
    · 저자명 : 김정현

    초록

    본고는 90년대 진정성 개념을 무규정성이란 관점 하에서 검토하고, 이어서 ‘진정성을 파괴하는 진정성’ 이면에 놓인 장정일의 지성적 사유에 대해 논의했다. 장정일 시의 핵심은 자본주의와 도시화에 대한 비판이란 표면이 아닌 마조히즘적 텍스트 구성방식에 있다. 이 마조히즘적 시적 화자의 이면이 텍스트밖 시적 주체의 자의식과 암묵적으로 매개되어 있다는 장정일 시의 특징적 양상은 지금까지 언급된 바가 많지 않다.
    그러나 이 징후적이고 증상적인 발화(에크리튀르)는 장정일의 텍스트의 근본적 구성원리라 할 수 있다. 텍스트를 제작한다는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근본적 욕망을 징후와 잉여로서만 드러내려 했던 장정일의 철저한 예술가적 자의식은 90년대에 산출된 개인성과 내면성의 한 정점으로 판단된다. 텍스트상 흔적과 잉여로만 드러나는 시적 주체의 (무)의식적 욕망은 사실상 지성적 문학에 대한 그의 근본적 추구와 관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장정일에게 ‘불타는 책’과 ‘죽음’의 알레고리적 이미지들은 결과적으로 시적 주체가 ‘책’(혹은 지성)을 통해 어떻게 자신만의 글쓰기를 지속했는지, 그리고 90년대의 혼란스러운 문단 상황하에서 오만하도록 자신의 문학적 방법들을 고수할 수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이 ‘언어’적 양상과 특이성을 통해 90년대 기형도와 더불어 장정일을 오늘날 현재 문단의 기원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를 포함한 본 연구의 목표점은 추후 이어질 유하에 대한 연구와 함께 90년대 시문단이 형성한 진정성의 다층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려는 것에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a big point of discussion about the authenticity and indefinableness of 90s literature. Under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discussed Jang Jung-il's intelligence behind ‘sincerity that destroys sincerity’. The core of Jang Jung-il's poem is the masochistic text composition method. Behind this masochistic poetic narrator,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poetic subject is implicitly mediated.
    This symptomatic and symptomatic utterance(écriture) is an important constituent principle in Jang Jung-il's poem. Jang Jung-il's thorough artistic self-consciousness, which tried to reveal his fundamental desires only as signs and surplu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 of producing text, is considered to be the culmination of individuality and internality produced by the 1990s. The desire of the poetic subject, which is revealed only by traces and surpluses in the text, actually corresponds to his efforts in intellectual literature.
    For Jang Jung-il, the allegorical images of ‘Burning Book’ and ‘death’ show how the poetic subject created his poem through intelligence as a result. Jang Jung-il maintained his literary style and ‘arrogant’ despite the chaos of the 1990s. Jang Jung-il's 'language' aspect and peculiarity are the origins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layered aspects of authenticity in the 1990s along with the research on Yu 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