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의 토포스로서의 시와 사랑의 역설 -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Poetry as a Topos of Freedom and a Paradox of Love -Focusing on Kim Soo-young’s Poetr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1.11
44P 미리보기
자유의 토포스로서의 시와 사랑의 역설 -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55권 / 127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유희

    초록

    이 글은 김수영의 시가 인식적 환기를 불러온다는 지점을 하이데거의 ‘토포스’ 개념을 원용하여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아울러 김수영이 말하는 자유의 이행으로서의 시가 ‘사랑의 형식’으로서 인식적 환기가 가능한 균열의 지점을 생성하는 방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인간은 근대적 시공간에 갇힌 존재로 현실 언어의 상징 질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생활 현실로부터 그리고 이념으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인간의 본질은 이 세계에서 은폐된다. 이때 김수영의 ‘시’는 현실을 면밀히 포착하고 그러면서 동시에 거리를 두는 전략으로 현실 언어를 시언어로 ‘시’에 채택하여 도입함으로써 그러한 은폐된 세계의 본질을 부각시킨다. 현실은 생활 언어의 채택으로 구축된 ‘시’, 즉 ‘시’라는 자유의 토포스이자 ‘열린 장’으로 현전된다. 그리고 그가 구축한 자유의 토포스로서의 시에서 그러한 본질은 탈은폐된다. 이것이 김수영이 말하는 자유의 이행이자 곧 사랑의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시’라는 토포스에서 운동하는 현실은 다시 시 바깥의 현실, 즉 생활 현실 속에 살아가는 우리로 하여금 어떤 인식적 변화, 인식적 환기를 촉발한다. 그러나 그러한 현실에의 인식변화가 현실이 아닌, ‘시’라는 언어 예술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역설적 상황을 촉발한다. 현실에 대한 인식 변화는 현실 내부에서 이뤄지지 않고, 현실 언어를 채택하여 구축된 ‘시’라는 새로운 영역을 거쳐서 이뤄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실이라는 갇힌 세계에서 시인의 면밀한 관찰과 거리두기를 통해서 포착되는 현실은 시인의 선택에 의해 탈각되는, 일종의 죽음을 맞이하면서 다시 시적 현실로 구축되는 탄생을 겪게 된다. 김수영의 ‘시’는 이러한 갇힌 세계에 예술작품이라는 ‘공백’, ‘빈 터’가 되는 것이다.
    이 ‘공백’이자 ‘빈 터’, 김수영 특유의 시공간에서 우리는 다시금 현실 속의 자신을 바라보게 된다. 김수영이 세속적 언어, 즉 생활 현실언어를 통해 구축한 시세계에서 우리는 비로소 현실을 다시금 들여다보며 현실 속의 나를 환기할 수 있다. 김수영의 시를 통해서 생활 현실에 대한 인식적 환기라는 자유를 이행하게 되는 것이다. 현실의 문제를 현실에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시’라는 토포스에서 인식하게 한다는 점에서 김수영의 ‘시’는 자유의 토포스이며, 또한 현실의 문제를 ‘시’라는 예술적 토포스에서 다시 생활 현실에의 자각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사랑의 역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 Soo-young’s poetry as a topos of freedom and a paradox of love. By adopting the Martin Heidegger’s concept of ‘Topo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Kim Soo-young’s poetry as a place of freedom and a creative way for cognitive cracks dubbed as a ‘form of love’.
    In a modern society, humans are trapped in time and space, so called ‘closed world’, and are not free from the symbolic order of real-life language, nor from living reality and ideology. So the essence of human beings is used to be concealed in this world. At this time, Kim Soo-young's poetry highlights the essence of such reality by adopting and introducing usual language of reality and relocating them into poetry as a poetic language. This is his poetic strategy to reveal reality at the same time.
    Kim Soo-young’s poetry makes this reality a topos of freedom as an open space to reveal our normal life and where we are. This can be said to be the fulfillment of freedom and the form of love. In his poetry, the reality captured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constant distancing of the real experience. Kim Soo-young's poetic world as a topos of freedom, it operates as unique time and space and gives a chance to look at ourselves in reality. Kim Soo-young’s poetry contains secular words, that is, living reality words, we can finally think of reality. Kim Soo-young's poetry as a topos of freedom leads us to recognize the reality. This way of recognition is a kind of paradox. The paradox is in between that the perception on the reality is happened in his poetry and also the freedom of recognition is carried out in his poetry, not in reality. In that point, Kim Soo-young’s poetry can be as a paradox of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