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휠체어 장애인의 대량맞춤을 위한 정장 프로토타입 패턴 개발 (Development of Suit Prototype Pattern for Mass Customization of Wheelchair User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6.02
10P 미리보기
휠체어 장애인의 대량맞춤을 위한 정장 프로토타입 패턴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50호 / 39 ~ 48페이지
    · 저자명 : 배수진, 박광애, 양정은, 유희천

    초록

    연구배경 본 연구는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정장 맞춤시스템을 위한 패턴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휠체어 장애인의 정장착용 시 불편 사항 및 선호도를 반영하였고, 휠체어에 앉은 체형특성을 반영하여 정장 프로토타입 패턴을 개발하였다. 또한 휠체어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착의평가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연구원형을 완성하였다.
    연구방법 휠체어 장애인 남성정장 패턴의 설계를 위한 기본원형은 System M. Müller의 기본원형 설계법을 사용하였고, 휠체어 장애인의 사이즈 체계에 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가슴둘레, 허리둘레, 등길이, 엉덩이둘레, 밑위길이, 바지길이 등의 인체치수를 원형설계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비교원형과 연구원형의 착의평가 비교결과, 44항목 중 25개의 항목에서 p<0.001 수준의 유의한 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11개의 항목에서 p<0.01 수준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즉 휠체어 장애인의 체형특성을 반영한 연구원형은 비장애인용 비교원형 보다 휠체어 장애인에게 잘 맞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재킷의 경우 밑단의 벌어짐 정도와 재킷의 길이, 칼라와 라펠의 적절성이 우수하였고, 바지에서는 무릎부위의 다트를 이용하여 여유분을 설정함으로써 바지길이가 당겨 올라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밑위길이 부분이 휠체어 장애인의 체형에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suit designs and patterns for disabled men in wheelchairs. In this study, a suit pattern prototype is presented, which reflects not only the clothing inconvenience level and their preference of suit for the disabled in wheelchairs on advanced research data but also their bod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y were evaluated and modified through wearing tests and then master patterns were completed.
    Methods The design of System M. Müller was set as a basic pattern. Body sizes such ad che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waist-back length, hip circumference, crotch length, and slacks length were considered in designing patterns.
    Result The findings from wearing evaluation for master patterns that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from basic patterns and development patterns ar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p<0.001 in 25 out of 44 categori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t p<0.01 in 11 categories. It means that the master patterns as reflect on their body characteristics were more fit with disabled in wheelchairs than basic patterns.
    Conclusion As for jackets, Master patterns applied properly to gaps on the hemlines, jacket length, as well as collar and lapel categories. As for slacks, it was appropriate to determine ease using darts on the knee part, to make slacks longer, and to shorten the front crotch length and to lengthen the bac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