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그리스 무용에 대한 미학적 토포스 (An Aesthetic Topos on Ancient Greek D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3.09
19P 미리보기
고대 그리스 무용에 대한 미학적 토포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1권 / 3호 / 207 ~ 225페이지
    · 저자명 : 이승건

    초록

    이 연구는 고대 그리스 무용에 대해 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몸짓의 언어로서 무용에 대해 미학적인 개념들, 즉 코레이아 및 무시케 그리고 김나스티케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무용미학의 지평을 마련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무용예술은 무사 여신들로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기에, 회화나 조각처럼 규칙의 지배를 받아 제작되는 테크네(technē)가 아니라 이러한 예술개념과는 대척점을 이루는 무시케(mousikē)이자 포이에시스(poiesis)였다. 미학사가 W. 타타르키비츠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의 무용은 그 기원에 있어서 시와 노래와 함께 어우러진 삼위일체 코레이아(triune choreia)이다. 또한 디오니소스 찬가의 형태인 디튀람보스(dithyrambos) 속에서 행해진 제의적 성격의 예술이며, 테르프시코레(Terpsichorē)라는 무사(mousa)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시케(mousikē)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플라톤의 대화록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그는 『국가』편 2권에서 무시케(mousikē)에 의한 혼(psychē)의 교육과 김나스티케(gymnastikē)에 의한 몸(soma)의 교육을 논하는 가운데 무용(orchesis)을 시, 음악과 함께 무사들(mousai)에 의한 예술의 영역임을 주장함과 동시에 이 교육이 초기에 이루어져야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법률』편 7권에서는 교육의 과목으로서 무시케와 김나스티케를 언급하면서, 전자가 영혼(정신)의 향상을 위한 교육인데 반해, 후자는 신체와 관련된 것이라면서 여기에는 무용(orchesis)과 레슬링(palē)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따라서 플라톤의 무용미학 속에는 예술로서의 무용과 체육으로서의 무용이 자리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연구자는 고대 그리스 무용이 한편으로는 영혼의 육성이라는 관점에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신체의 단련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Ancient Greek dance. Moreover, the aesthetic point of view is to take a look at. Especially, dance as a language of gestures for the dance through the aesthetic concepts(choreia, poiesis, mousikē, gymnastikē etc.) is to establish the boundaries of aesthetics. According to aesthetics historian W. Tatarkiewicz, the dance originated in ancient Greece to the ‘triune choreia’. It was accompanied by words and musical sounds. The dance, combined with music and poetry into whole, and this art expressed man’s feelings and impulses though words and gestures, melody and rhythm the term choreia underlines the crucial role of the dance. It is derived from choros, a chorus, which originally signified a group dance. Greek vocabulary may lead us astray, because the same terms were used then as now, but they meant something different to Greeks centuries ago. For example, ‘poiesis’(deriving from poiein: to make) originally signified any type of production. This concept has the opposite meaning against that governed by the rules excellence of skill, i.e., ‘technē’. And ‘mousikē’(derived from Muses) signified every activity patronized by the Muses and not just the art of sound. In ancient Greeks, muse was coming from the dance. Therefore, dance as mousikē was the muse owns. That's ‘Terpsichorē’, ‘delight in dancing’ was one of the nine Muses, ruling over dance and the dramatic chorus. Her name comes from the Greek words τέρπω(delight) and χoρός(dance). She is usually depicted sitting down, holding a lyre, accompanying the dancers' choirs with her music. In the case of Platon, the dance is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He referred to the education of the soul(psychē) by the art education(mousikē) and the body(soma) by physical education(gymnastikē) of the dance is mentioned. As a result, dance of ancient Greece to seek the individual's aesthetic pleasure beyond religious rituals and necessary for the good of the polis has shown that. Furthermore dance is an art(mousikē), and physical fitness(gymnastikē) was part of the two areas was much more important in ancient Gree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