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리게네스의 『테살로니카 1서 주해』의 특수성에 관한 고찰 - 교부 문헌 연구를 위한 역사-문학적 접근 방법의 실제 - (A Study on the Particularity of Origen’s Commentary on the First Letter to the Thessalonians - An Exemplary Practice of Historical-Literary Approach for Patristic Literature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9.06
32P 미리보기
오리게네스의 『테살로니카 1서 주해』의 특수성에 관한 고찰 - 교부 문헌 연구를 위한 역사-문학적 접근 방법의 실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34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안수배

    초록

    20세기 말 교황청 가톨릭 교육성의 지침에 따르면, 교부 문헌에 관한 연구는 단순히 신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서, 작품을 에워싼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침을 실제로 적용하고자, 그 예로 오리게네스의 『테살로니카 1서 주해』의 역사-문학적 맥락을 분석하고 있다. 오리게네스는 중요한 교의가 정립되기 전인 3세기의 인물로, 사후에 그의 작품은 정치적인 이유와 교의적인 오해로 단죄를 받았고, 이 때문에 그의 작품은 소실되거나, 라틴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왜곡되기도 하였다. 본고가 다루는 『테살로니카 1서 주해』 역시도 온전한 작품이 전해지지 않고, 일부 내용만 히에로니무스의 편지글 안에 번역되어 인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원저자인 오리게네스와 번역자인 히에로니무스 사이에는 200여년의 시간적 간극과 신학적 상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이 작품은 다양한 역사-문학적 층을 내포하고 있고, 앞서 말한 교부 문헌 연구를 위한 다각적 연구에도 적합하다. 본 연구는 먼저 액자 구성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히에로니무스의 『서간』 119의 역사적 배경과 구성을 살피고, 번역의 문학-신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이후 오리게네스의 『테살로니카 1서 주해』에 더욱 집중한다. 문학 양식과 집필 시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사상의 성숙성을 이해한다. 또한, 본문의 구조와 해석학적 특성을 들여다보면서, 성서구절을 주로 영성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는 오리게네스의 주석 경향을 소개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indications of Congregation for Catholic Edu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study on the literature of Fathers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lements surrounding the works, beyond simply understanding the theological traits. In order to apply these guidelines in practice,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xt of Origen’s Commentary on the First Letter to the Thessalonians. Origen was a figure of third centur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principal doctrines in Church. Posthumously his work was condemned for political reasons and dogmatic misunderstandings. For this reason, it was destroyed or distorted during the process of translating into Latin. Commentary on the First Letter to the Thessalonians, which is main text of this article, is also not handed down entirely, and only a small part of it is quoted in a letter of Jerome as his translation. In addition, There is a temporal gap and a theological difference of almost 200 years between the author Origen and the translator Jerome. Due to these particularities, the Commentary contains various historical-literary layers and is also suitable for aforesaid multifaceted studies for the patristic literature. This article firstl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Jerome’s Letter 119, which corresponds to the frame of the work, and grasps the literary-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After that, it concentrates more on Origen’s Commentary on the First Letter to the Thessalonians: to examine the literary style and writing period, and then to understand the maturity of thought. Also, looking at the structure and the hermeneut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xt, it presents Origen’s tendency to spiritual interpreting for Biblical pass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