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발턴의 타자성, 새로운 윤리적 감각 - 황정은의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therness of the Subaltern and the new ethical sens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7.04
22P 미리보기
서발턴의 타자성, 새로운 윤리적 감각 - 황정은의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8권 / 1호 / 135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이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서발턴의 삶과 존재방식에 문제제기를 해온 황정은의 소설을 대상으로 서발턴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폈다. 황정은의 텍스트는 폭력적인 도시(개발) 생활과 그 구소 속의 인간에 대한이야기이다. 그러나 등장인물들은 선하고, 인간관계는 따뜻하여 위안과희망의 이야기로 평가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긍정적 전망의 제시, 희망을 상징하는 등장인물 간의 사랑 등이 누구에 의해 말해지며, 그 이야기에 얹혀 있는 찬사와 호평은 누구의 목소리인지 묻고 있다.
    서발턴을 재현하는 방식은 『百의 그림자』이후 점차 진화하고 있으며, 「상류엔 맹금류」에서 정점에 도달하고 있다. 지배담론이 전유할 수 없는 타자성 혹은 차이의 지점을 구체적으로 재현해 내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을 상충하게 만드는 독특한 재현방식은, 합리화되어 왔던 서발턴의 내재적 속성에 균열을 가하는 방식이 되고 있다.
    즉 종속성에서 오는 숨겨진 폭력성, 현실감 없는 현실인식, 판단의 부재, 평범함으로 덧칠되어 있는 천박성을 재현하면서도 그에 대한 연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상력을 차단한다. 그리고 화자는 속악을 합리화하는 생존전략의 부정함, 싫음, 섞이지 않음을 언표화 하는 것으로 서발턴으로서의 저항의지를 보여주며 자신의 자리가 새로 배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Discussions on the subaltern have been made in various ways around the texts that feature characters from lower classes such as the general people, the urban poor and workers. Spivak said that the important point in subaltern studies is to reveal the difference from the concept of the subject that pursued totality and homogeneity. This difference can be summarized as a non-visualizable spirit of resistance and its practice, something that the dominant discourse cannot fully appropriate and the otherness (negativity) that resists the capture of the dominant discourse.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identity of the subaltern in light of their way of existing by determining who speaks of the subaltern, what is spoken of and how it is spoken of, while focusing on Spivak's view and using the term subaltern to refer to a subordinate position in a broad category. More specifically, the study looked into the aspects of how the subaltern is represented in novels of Hwang Jeong-eun who has consistently raised questions about the lives and ways of existing of the urban subaltern.
    Hwang's novels depict a life in a violent city (under development) and human beings living in the structure. However, they present good-natured characters and warm human relationships, which is why they are read as stories of comfort and hope. This study poses questions about who presents such positive prospects, speaks of love between the characters that symbolize hope, and in whose voice the praise and appreciation are given to such stories.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altern, it gradually evolves after "The Shadow of a Hundred" and reaches the peak in "Raptorial Birds in Upstream," as the point of otherness or difference that cannot be appropriated by the dominant discourse is represented in a concrete way. It is a unique representation method that puts the invisible and the visible into conflict, which serves as a way of cracking the subalternate intrinsic properties that have been justified. In other words, the author represents thoughtlessness and worldliness and a certain degree of shallowness, while blocking the imagination that can lead to compassion.
    And the narrator shows the will to resist as a subaltern by enunciating the rejection of the survival strategy that justifies the vulgarity, disliking and not being mixed,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relocation of his or her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