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선전지역 외래인구의 서발턴화 양상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Subalternization among Migrant Populations in Shenzhen, Chin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5.04
34P 미리보기
중국 선전지역 외래인구의 서발턴화 양상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도시인문학연구 / 17권 / 1호 / 273 ~ 306페이지
    · 저자명 : 윤종석

    초록

    본 논문은 중국 개혁개방의 최전선 도시인 선전(深玔)을 중심으로 외래인구, 특히농민공이 경험한 ‘서발턴화(subalternization)’ 양상의 변화를 분석한다. 선전은 제도밖의 예외공간으로 기능하며 외래인구를 도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활용해왔으나, 그들은 제도적 시민권의 부재 속에 비가시화된 존재로 남아 있었다. 본 연구는 토머스의 서발턴 개념 - ‘억제할 수 없는 서발턴’, ‘헤게모니적 서발턴’, ‘시민-서발턴’ - 을이론적 틀로 삼아, 1980~90년대의 배제와 억압, 2000년대 이후의 조건부 통합과다면성을 구분하여 서술한다. 점수적립제 호적제도, 거주증 정책 등은 외래인구를체제 내로 포섭하려는 전략이었으나, 이는 시민권의 자격화와 새로운 통치기제의정착으로 귀결되었다. 특히 2010년대 후반 ‘싼허 청년’ 등의 사례는 제도 내 시민권획득 이후에도 여전히 경계에 위치한 존재로서 외래인구의 새로운 정체성과 실천을보여준다. 본 연구는 선전이라는 도시를 통해 중국 도시화의 비동시적 근대성과 계층화된 시민권 구조, 그리고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서발턴 개념 재구성 가능성을 탐색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olving process of subalternizationexperienced by the migrant population - particularly rural migrant workers (nongmingong) - in Shenzhen, China’s foremost experimental city during the era of reform and opening. While Shenzhen has been celebrated as a “model city” and a space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it has simultaneously functioned as an exceptional institutional space where the majority of its residents migrants from rural areas have remained marginalized from full citizenship and social recognition.
    Drawing on Peter D. Thomas’s reconceptualization of the subaltern in three categories - the irrepressible subaltern, hegemonic subaltern, and citizen-subaltern - this paper traces the shifting modes of exclusion, conditional inclusion, and ambivalent subject formation among Shenzhen’s migrant population over the past four decades. In the 1980s and 1990s, migrants were largely invisible and unincorporated, functioning as “irrepressible subalterns” who materially sustained the city but were excluded from its institutional frameworks. The 2000s marked a shift as social tensions and labor unrest, along with symbolic events such as the 2003 Sun Zhigang incident, prompted local and national governments to implement integration policies. These included social insurance coverage, the point-based hukou(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and equalization of public services. Such efforts transformed many migrants into “hegemonic subalterns” - visible and partially incorporated, yet still structurally unequal and subjected to conditional citizenship based on productivity and conformity.
    In the 2010s, a new generation of migrant youth, particularly those associated with the Sanhelabor market, emerged as “citizen-subalterns” - individuals who reside within institutional boundaries yet remain symbolically and practically peripheral. Their fragmented experiences of urban belonging, often expressed through humor, irony, and everyday resistance, reveal the limitations of state-led developmental citizenship and the continuing ambiguity of their social position. These layered trajectories of subalternization underscore that the migrant population in Shenzhen cannot be understood as a homogeneous underclass but rather as a heterogeneous and temporally shifting collectivity shaped by policies, discourses, and lived negotiations.
    By situating these transformation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China’s urban governance and East Asian developmentalism, this study offers a localized yet theoretically informed reinterpretation of the subaltern, shedding light on the structural dynamics of inclusion, exclusion, and conditional rights in contemporary Chinese c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