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黑磁의 製作樣相과 性格- 문헌기록과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 (Joseon Black-glazed Porcelains: Their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Documentary Source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Ancient Kiln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1.06
35P 미리보기
朝鮮時代 黑磁의 製作樣相과 性格- 문헌기록과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0권 / 270호 / 159 ~ 193페이지
    · 저자명 : 서지영

    초록

    흑자란 검은색조의 유약이 시유된 자기를 일컫는다. 조선시대에 제작된 흑자는 기형과 유색·제작 방법에서 분청사기·백자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 흑자는 실용적인 성격을 띠고 음식을 저장·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흑자는 분청사기나백자의 태토와 유사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문헌에서 도기와는 다른자기처럼 인식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벌 구이를 기초로 하는 도기와는 달리 초벌 후 시유하는 과정이나,분청사기·백자와 함께 번조된 흑자의 파편을 통해 흑자를 자기질로 볼 수 있다. 흑자의 유약은 산화철을 비롯한 착색제의 함량이 분청사기나 백자에 비하여 다량 함유되어 흑색계열의 어두운 색조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흑자는 원료와 생산지, 그릇의 종류와 형태, 번조방법에 따라 시기별 특징을 이루는데, 세 단계의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Ⅰ기(15-16세기)의 흑자는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소량 생산된 것으로, 원료·기형·번법 모두 분청사기와 유사했으나 기종은 병과 호를 중심으로 한 저장·운반기 위주로 출토된 것이 분청사기와 차이점을 가진다. Ⅱ기(17-18세기)의 흑자는 백자 가마터에서 생산되기 시작하며, 흑자의 원료나 기형·번법은 백자와 유사한 면이 있었으나, 흑자병과 호의 기형은 백자보다 다양하게 제작되었으며, 소량이지만 흑자발과 접시 등 음식기도 확인되었다. Ⅲ기(19세기 이후)에는 흑자만 단독으로 생산하는 가마나 백자보다 흑자를 중심으로 생산하는 가마가 확인되어 흑자가 양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이다. Ⅰ·Ⅱ기와 마찬가지로 저장·운반기 중심으로 제작되어 흑자의 용도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원료나 번법 등은 백자와 유사한 면이 확인되었다. 또한 백자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기형의 흑자병과 호가 다양하게 제작되었다.
    이처럼 조선 후기에 흑자가 많이 생산되는 이유는 음식문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았는데, 농·어업의발달로 인하여 조리법이 다양해지고, 저장용의 자기 수요가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곡물의 재배량이 증가되면서 주류문화의 발달로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호와 병의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문헌기록을 통해 흑자에 대한 어의와 용례를 살펴보고, 출토지가 명확한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흑자의 원료와 생산지, 기종과 기형, 번법을 동시대의 분청사기나 백자와 비교분석하여 조선시대 흑자의 제작양상과 제작 시기별 특징을 도출해 낸 것에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Black-glazed porcelains from the Joseon period, distinct from buncheong ware or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shape, glaze, and firing method, bear strong witness to the rich diversity of Joseon ceramics. This variety of Joseon ceramics is one of the most notable ceramic traditions in East Asia. Black-glazed porcelains appears to have been ceramics used to store and carry liquid and other things, as confirmed by documentary sources and chemical analysis of evidence found in kilns from this period.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Joseon black-glazed porcelains are made of white clay and ingredients that are similar to those used for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from the same period. Documentary sources, meanwhile, show that black-glazed porcelains,made of white clay, were perceived in Joseon as sturdier vessels than earthenware vessels.
    Also, unlike earthenware, which is fired only once, black-glazed porcelains are glazed and fired twice, just like regular porcelains, as shown by the analysis of fragments found in a kiln,along with those of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Glaze used for black porcelainsduring the Joseon period contained twice to four times more oxidized iron than the glaze used for buncheong ware or white porcelains; hence, the dark color.
    Joseon black-glazed ware varies in terms of clay and glaze and region of production.
    Types of vessels and firing methods changed over time. Three stages can be distinguished in the evolution of Joseon black-glazed porcelains. During the first phase (15th and 16th centuries), they were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at buncheong ware kilns. These blackglazed wares are similar to buncheong ware, in terms of ingredients, shapes, and firing methods, but are distinct from the latter in that they are mainly, vases and jars, in other words, storage vessels. During the second phase (17th and 18th centuries), they started to be produced at white porcelain kilns. Although similar to white porcelains in ingredients, shapes,and firing methods, black-glazed vases and jars from this period were more varied in design than white porcelain vases or jars. During the third phase (19th century and thereafter), there was the emergence of kilns producing either exclusively or mainly black-glazed ware,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n overall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this type of ware. Just a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black-glazed vessel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were also vessels for storing and carrying. Meanwhile, although they tended to be similar to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ingredients and firing methods, vases and jars in black-glazed ware from this period have at times original shapes that are not seen among white porcelain ones. Such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black-glazed ware appears to have had to do with the food cul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Advances made in farming and fisheries techniques made a larger variety of foodstuff available, which, in turn,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accommodation techniques. Such developments are likely to have driven up the demand for vessels for storing food. With the increased production of grain, surplus grain was used to brew liquor, possibly boosting the demand for vases and jars for storage purpo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nstructs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of black-glazed porcelains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both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documentary sources and the careful examination of surviving items whose site of production is precisely known, comparing them with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clay and glaze, production sites, types of vessels, shapes, and firing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