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17-18세기 철화백자의 특징과 성격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White Porcelains Painted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th-18th Century: The Case of Porcelains Discovered at Ancient Kiln Sit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0.09
34P 미리보기
조선 17-18세기 철화백자의 특징과 성격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7권 / 267호 / 77 ~ 110페이지
    · 저자명 : 송인희

    초록

    조선의 17-18세기는 도자사적으로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이어지며 전통과 새로운 양상이 공존하는 때이다.
    이 시기는 문헌 기록과 출토유물을 통해 이전 시기에 비해 철화백자가 활발하게 제작되었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에 요업 배경과 더불어 관요산 철화백자의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일찍부터 시도되었으며,관요 이외 가마에서 제작된 철화백자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이르러 부분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및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철화백자를 중앙과 지방을 이분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상호 관계 속에서 이해할 필요성이 요망되어 왔다. 또 가마터 이외 다양한 성격의 유적조사를 통해 꾸준히 축적되어 온 철화백자의 출토 상황 역시 총체적인 관점에서 재접근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본 연구는 관요와 지방의 요업을 상호적으로 이해함으로써 17-18세기 철화백자의 시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를 위하여 철화백자의 본격적인 제작 및 변화와 관련한 배경을 살피고, 철화안료의 쓰임이라는 관점에서 안료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안료의 다양한 활용이 철화백자의 제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각지의 가마터에서 나타나는 철화백자의 제작에대해서는 해당 지역의 수요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관요와관요 이외 가마터의 제작 양상을 폭넓게 다루어 시문 기종과 문양 소재의 표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조형적특징을 파악했다.
    철화백자는 주로 호와 병, 발과 접시의 기종으로 제작되었는데, 관요 이외 가마터에서 호와 병, 발과접시의 제작이 구분되는 지역적 특색도 나타났다. 관요를 중심으로 운룡문, 매·난·국·죽문 등이 섬세하게 나타나던 문양의 표현은 점차 간략한 초화문이 등장하며, 이러한 경향이 관요 이외 가마에서의 단순한문양 시문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관요 이외 가마에서 제작된 철화백자의 문양에는 시문기종에서와 마찬가지로 표현 양상에 지역적 특색이 나타나지만, 시기가 늦을수록 점차 공통화되는 것으로보인다.
    이를 통해 17-18세기 철화백자는 안료의 위상이 제고되고 그 쓰임이 점차 일반화되는 양상과 맞물려‘문양을 그린’ 자기가 저변화되는 상황과 연계하여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철화백자에 나타나는 문양의 표현에 관요와 관요 이외 가마간 유사성이 확인되며, 관요 이외 가마들 간에는 관요와의 인접성에 따라 나타나던 차이가 점차 줄어들고 유사한 경향을 띠게 되는 것으로 보아, 철화백자의 확산은 질적인 다양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17-18세기 철화백자는 조선시대 도자사에서 안료장식을 했던 백자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조선 후기 백자의 저변이 확대되는 현상을 확인시켜주는 한 지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17th-18th century, corresponding to the mid-Joseon period, was a transition period in the dynasty’s ceramic history, during which the aspects of earlier traditions existed sideby-side with new aspects of late Joseon ceramics. An important body of documentary and archaeological evidence confirms that white porcelains with underglaze iron-brown decoration were much more actively produced during this period than in the past. Attempts at understanding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s painted in underglaze iron-brown produced at official kilns have been made along with studies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pottery industry. Research on underglaze iron-brown-decorated white porcelains that were produced in kilns other than the official kilns began only recently.
    For a better assessment of this category of Joseon white porcelains, it is important that these two areas of research be brought together so that underglaze iron-brown-decorated white porcelains from the capital area can be understood in light of those produced outside it, without artificially separating the two. Furthermore, the growing stock of underglaze iron-brown-decorated white porcelains discovered through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from places other than kiln sites, has also offered possibilities for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is tradition of ceramics.
    This study started out a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s painted in underglaze iron-brown produced in the 17th-18th century by looking at both porcelains produced in official and local kilns. In doing so, I have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underglaze iron-brown-decorated white porcelains in this era to understand what promoted their production and how the industry evolved over time. Two initial hypotheses that I had in mind were on the one hand that the changing perception of pigments and their more varied use must have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s decorated with iron pigments, and on the other hand that the production activity was to an important extent affected by demand existing in individual regions where they were produced. Therefore, I have tried to determine the types of white porcelain vessels most frequently decorated with underglaze iron-brown designs and their visual characteristics by looking at both porcelains produced in official and local kilns.
    White porcelain wares that were most frequently decorated with underglaze ironbrown designs were jars, vases, bowls, and plates. Local kilns in certain regions were either specialized in jars and vases or in bowls and plates, rather than producing all four types of vessels evenly. In official kilns, highly-detailed designs such as dragon-and-clouds,apricot blossoms, orchids, chrysanthemums and bamboos that had been initially used were gradually replaced by simpler flower and plant designs. This shift appears to have also influenced porcelains produced in local kilns so that the simple flower and plant designs became dominant. Iron-brown flower and plant designs seen in porcelains produced in local kilns show a degree of regional variation, just as types of vessels produced varied according to regions. This regional difference, however, eventually faded away over time.
    The increased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s painted in underglaze iron-brown in the 17th-18th century may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in status of iron-brown pigment and its more generalized use, further connected with the growing popularity of the‘decorated porcelains’ in ceramic industry. There existed a great degree of similarity in decoration between porcelains produced in official kilns and those in local kilns, while the initial difference in design among local kilns depending on their relative distance to the official kilns gradually diminished. This suggests that the production and use of underglaze iron-brown-decorated white porcelains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variety of late Joseon ceramics. Therefore, the white porcelains painted in underglaze iron-brown took an important position in between‘decorated porcelains’in ceramic industry of Joseon and their active production of the 17th-18th century is indicative of the growing popularity of white porcelains in late Jose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