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로탱 중단 의식(儀式) 공간의 변화와 의미 (Change and meaning of the ceremonial space in Jungdan(the middle portion) of Gamro-Tae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감로탱 중단 의식(儀式) 공간의 변화와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6호 / 20 ~ 47페이지
    · 저자명 : 손신영

    초록

    조선시대 수륙재의식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여들어 범패와 작법 즉 노래와 악기연주 · 춤을 즐겼는데, 그 의식장면은 감로탱에 재현되었다. 감로탱 중단의 시식단 왼쪽 편에 범패작법하는 승려들이, 그 앞쪽에는 발원자와 구경꾼들이 묘사된 것이다.
    감로탱 중단의 의식장면은 시기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16~18세기에는 범패작법승과 송경승의 공간이 나뉘지 않은 채, 의식 진행 상황만 시사되어 있다. 19세기 중반 이후로는 승려들의 소임에 따라 공간이 분리되어, 범패작법승이 송경승 보다 전면에 등장하는 동시에 이를 바라보는 구경꾼들이 등장해, 마치 무대에서 벌어지는 공연을 감상하는 관객처럼 묘사되며 시대변화를 드러냈다.
    이글에서는 감로탱에 내포된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그림 속 공간은 한밤중인 새벽 1~3시에 의식이 치러진 곳인데, 16세기 무렵까지는 실내일 가능성이 높고, 그 이후로는 실외였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실제로 의식이 설행된 곳은 기록을 통해, 삼단이 건물로 세워진 사례로는 진관사수륙사가 유일했음을 추론하였다. 수륙재는 대부분 사찰 내에서 설행되었으나 드물지 않게 한양 도성문 밖이나 한강 등지에서도 설행되었는데, 고혼들의 사고장소와 인접한 곳이 선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이 걸렸던 곳은 화기를 통해 파악하였는데, 시기가 내려올수록 봉안 장소가 구체적으로 명기되며 대체로 주불전에 봉안된 바를 알 수 있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의식장면은 획기적으로 바뀌었는데, 운룡문 기둥에 줄을 묶어 여러 번과 금은전 등이 매달리고 시식단에 계단이 부가된 모습을 통해, 실제 공간은 사찰의 중정으로 추론하였다. 시식단 좌우의 보자기 장식 화병과 탁자는 왕실 하사품으로 보았으며, 촛불의 유무는 영산재 식당작법 도상과 함께 실제 의식이 영산재와 수륙재가 혼재되어 설행된 결과로 판단하였다.
    기록에서 보듯, 수륙재는 노래·타악기연주·춤이 어우러지고 그림과 깃발이 나부껴 사람을 불러 모으고, 즐겁게 흥분시키는 축제의 장이었다. 감로탱 중단 의식공간은 16~18세기에는 현장 분위기 대신 의식의 기능과 의미가 강조되다가, 19세기 들어 현실을 반영하는 당대 예술문화 분위기를 수용하며, 儀式현장이 실감나게 재현되는 불교풍속화로 거듭나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suryukjae ceremony, which can be seen as a festival in our traditional culture,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ed to enjoy the beompae and writing method, that i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dancing, and the scene of the ceremony was reproduced in Gamro-Taeng. On the left side of the sisikdan(施食壇) of Gamro-Taeng, the monks are depicted, and in front of them, the originators and spectators are depicted. The ceremonial scenes of Gamro-Taeng stoppage can be divided by period.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the spaces of Beompajakbeopseung and Song Gyeongseung were not divided, only the progress of the ceremony is suggested.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space has been divided according to the duties of the monks, and the Bumpajakbeopseung appeared in front of Song Gyeongseung, while at the same time spectators who looked at it appeared, portraying the times as if they were spectators watching a performance on a stage, revealing the change of the times.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space contained in Gamro_Tang by dividing it into three spaces. The space in the picture is where rituals were held between 1 and 3 am in the middle of the night, it is highly probable that it was indoors until around the 16th century, and it was inferred that it was outdoors after that. It was deduced from the records that the actual ceremony was held, and that Jingwansa Suryuksa was the only case in which a three-tiered building was built. Most of the suryukjae were performed inside temples, but it is not rare that they were performed outside the city gates of Hanyang or on the Han River, and it was found that a place adjacent to the place of death of the deceased was chosen. The place where the painting was hung was identified through the firearm, and as the time went down, the place of enshrining was specified in detail, and it was generally possible to know what was enshrined in the Jubuljeon.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ceremonial scene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 actual space was inferred as the temple's courtyard through the appearance of tying ropes to the pillars of Unryongmun, hanging gold and silver coins, and a staircase added to the tasting table. The vases and tables decorated with Wrapping Clo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sikdan were regarded as royal bount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ndles was judged as a result of a mixture of Yeongsanjae and Suryukjae, along with the diagram of the Yeongsanjae restaurant reci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