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잡지 『변태심리(変態心理)』에 나타난 사회적 담론 : <최신의 학설(最新の学説)>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Discourse in the Magazine Hentaishinri :Focusing on Section of Hentaishinr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4.02
29P 미리보기
잡지 『변태심리(変態心理)』에 나타난 사회적 담론 : &lt;최신의 학설(最新の学説)&gt;란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일본 근대 사회의 심리학적 담론을 깊이 있게 탐구
    • 📚 당시 학술적 관점에서 '변태' 개념의 다차원적 접근 제공
    • 🧠 정신의학과 사회심리학의 학제간 연구 통찰 제공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41호 / 43 ~ 71페이지
    · 저자명 : 이현희

    초록

    본 연구는 잡지 『변태심리』의 전체상을 조망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변태심리』의 <최신의 학설>란 기사를 중심으로 동시기 ‘변태’를 둘러싸고 어떤 사회적 담론이 있었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담론이 잡지 『변태심리』와 어떠한 의미관계를 형성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변태심리』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한 나카무라 고쿄의 이력과 『변태심리』의 창간 의도를 살펴보고, 학회 기관지로서 『변태심리』의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일본정신의학회’ 설립한 나카무라 고쿄는 정신적 질환을 치료하는 데 물질 의학만으로는 치료가 어렵다고 주장하며 기존 제도권 연구에서 벗어나 임상심리학, 사회심리학, 사회병리에 해당하는 분야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기사들을 『변태심리』에 게재하였다. 특히 이 잡지는 동시기 학지(学知)의 최선단에 있었던 법학사, 문학사, 종교가, 신문기자 등을 ‘일본정신의학회’ 회원으로 가입시키고, 그들의 연구 논문 및 기사를 꾸준히 실었다. 이러한 논문과 기사의 게재는 『변태심리』가 학술적 잡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최신의 학설>란의 전체 기사 제목에서 핵심이 되는 주제어를 도출하고 주제어와 관련된 연관어의 연결 양상을 분석하여 당시 주제를 인식하는 관점을 살펴보았다. 잡지 『변태심리』는 ‘<최신의 학설>란에, 다른 신문과 잡지에서 ‘변태’의 범주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학술적 관점에서 다룬 기사를 발췌하여 꾸준히 소개하였기 때문이다. 『변태심리』의 <최신의 학설>란 총 667건의 기사 제목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정신’, ‘심리’, ‘범죄’, ‘교육’, ‘종교’, ‘미신’ 등의 순으로 등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잡지가 ‘변태’의 범주에 있는 정신질환, 이상심리, 불량소년/소녀, 여성의 범죄뿐만 아니라 아동의 행동양식, 미신, 사교 등을 학술적으로 해석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고, ‘변태’의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사회 양상이 『변태심리』 잡지에서만이 아니라, 일반 심리학, 철학 교육학 등의 여러 학술적 방면에서 논의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icture of the magazine “Hentaishinri”. As a first step, articles from the magazine's “The Latest Theories” section were used to examine the social discourse around “Hentai(perversion)”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nd how this discourse related to the magazine. I examine the career of Gokyo Nakamura, who served as the magazine's editor-in-chief, and the intentions behind the magazine's creation, and identify the position of “Hentaishinri” as an academic journal. Nakamura, who founded the Japanese Psychiatric Association, argued that mental illnesses could not be cured by physical medicine alone, and broke away from the existing institutionalized research to study clinical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and sociopathology, and published articles related to these fields in “Hentaishinri”. In particular, lawyers, literary scholars, religious scholars, and newspaper reporters who were on the cutting edge of academia at the same time joined the Japanese Psychiatric Association as members, and their research papers and articles were consistently published through the magazine. Thanks to the publication of these papers and articles, “Hentaishinri”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scholarly magazine.
    Second, I identified key words in the titles of all articles in the “The Latest Theories” section and analyz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key words and related words. In the section of the magazine, articles on various social issues that fall under the category of “Hentai” in other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consistently introduced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I analyzed the most frequent keywords in the titles of 667 articles in the section and found that they were “mind,” “psychology,” “crime,” “education,” “religion,” and “superstition,” in that order. It can be said that the magazine tried to analyze not only mental illness, abnormal psychology, delinquent boys/girls, and women's crimes in the category of ‘Hentai,’ but also children's behavior, superstition, and socialization, and that various social aspects under the category of ‘Hentai’ were discuss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general psychology and philosophical pedagogy, not only in the “Hentaishinri” magaz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