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釋迦塔 발견 墨書紙片의 내용을 통해 본 高麗時代 佛國寺의 현황과 운영 (The Organization and Adminstration of Bulguk-sa Temple in Early Goryeo Period Seen Through the Documents Found at Shakamuni Stup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2.04
28P 미리보기
釋迦塔 발견 墨書紙片의 내용을 통해 본 高麗時代 佛國寺의 현황과 운영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신뢰성
    • 학술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고려시대 불국사의 독특한 사찰 운영 조직과 구조를 상세히 분석
    • 📜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승려 명단과 사찰 의례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 자료 제공
    • 🔍 불국사의 종파 변천과 조직 구성에 대한 학술적 통찰 제공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1호 / 239 ~ 266페이지
    · 저자명 : 최연식

    초록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묵서지편에서는 고려시대 불국사의 현황과 사찰 운영, 승려들의 구성에 관한 중요한 내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화엄사찰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온 불국사가 11세기 전반 당시에는 유가업 즉 법상종의 사찰이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불국사의 종파를 알려주는 구체적 자료로서 중요할 뿐 아니라 불국사와 관련된 기존의 자료들을 새롭게 검토할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도 의미를 갖는다. 이 기록을 토대로 기존의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한다면 불국사의 종파 변천 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묵서지편에는 기존에 알려진 사찰의 三剛(綱)典 구성과는 다른 불국사의 삼강전과 다른 자료에는 보이지 않는 大官典, 都色典, 塔寶典 등이 보이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고려시대 불국사의 사찰 운영 조직의 구체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삼강전의 경우는 기존에 알려진 禪宗 계열 사찰들과는 구별되는 敎宗 사찰의 구체적 사례로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묵서지편에는 불국사에서의 山神을 위한 說經법회와 功德天을 모시는 법회 등이 보이고 있는데, 고려시대 사찰 의례의 구체적 자료로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한편 묵서지편에는 1024년과 1038년 당시 불국사에 머물면서 석탑 중수 작업에 참여하였던 3백여 명의 승려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승려들의 명단 중 가장 많은 분량이다. 묵서지편에 기록된 불국사 승려들 중 약 20퍼센트는 僧職을 가진 고급 승려로 나타나고 있으며, 승직을 갖지 않은 일반 승려들 중 일부는 和尙(上)이라는 존칭으로 불리고 있었다. 묵서지편에 기록된 승려들의 신분과 중수 작업에의 참여 내용 등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면 당시 승려들의 존재 양태 및 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documents found at Shakamuni stupa in Bulguk-sa we can find some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the temple in early Goryeo period; the organization of the monks, the administration of the temple, and the sect to which it belonged. At first, the documents show that Bulguk-sa was a Yogacara temple in the early 11th century. Up to now Bulguk-sa has been thought to have belonged to Huayan school in early Goryeo period because it was listed among the temples where Huayan Master Nakjin(1045~1114) had resided in his stele. As the information of the new documents is much more believable the contents of the stele should be re-understood. It is probable that Master Nakjin did not reside at Bulguk-sa but stayed there shortly for a special business. Bulguk-sa must have been a Yogacara temple as it was also an permanent residence for Yogacara Master Hyeyeong (1228~1294).
    Secondly, the adminstration system of the bulguk-sa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temples. It is the only case of the academic temple in Goryeo period. The Daegwan-jeon(大官典), the Dosaek-jeon(都色典), and the Tappo-jeon(塔寶典) which consisted the three cords(三綱), the adminstration system of the temple, never seen in othe materials. They must have been the posts located only in the academic temples.
    Thirdly, there are listed about 300 monks who resided in Bulguk-sa and participated in the restoration of the stupa. It outnumbers the monks whose name is known before. Among the monks listed in the documents only less than 20 percents hold the priest posts. The proportion of the high-lanking and ordinary monks might have been the same in other temples. In the documents very few monks called as “Whasang(和尙 or 和上)” took the most important roles in the temple. The Whasang might have been the honorific title given to the highest monks in the temple.
    Lastly, we can find some special Buddhist masses such as mass for Mountain spirit and mass for Srimahadevi(=Rakshimi). They are important cases in understanding Buddhist beliefs and rituals practiced in Goryeo te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