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편’에 다가가는 수단으로서의 ‘식민지인 되기’: 이효석의 <녹색탑>을 중심으로 (‘Becoming Colonized Person’ As a Tool of Approaching ‘Universa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4.12
28P 미리보기
‘보편’에 다가가는 수단으로서의 ‘식민지인 되기’: 이효석의 &lt;녹색탑&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7권 / 4호 / 315 ~ 342페이지
    · 저자명 : 배상미

    초록

    이 글에서는 이효석의 일본어 창작 가운데 <녹색탑>이 가지는 위상을 검토하고, 이효석이 도달해야 하는 이상으로 설정하는 서구라는 기표가 내선일체 정책과 맞물려 빚어내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효석은 일제 말기에 ‘내지’의 일부이면서도 ‘내지’와 구별되는 ‘외지 조선반도’의 지역색을 억지로 만들어내는 조선 문인들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그의 일본어 소설을 보면 그 역시 ‘조선적인 것’의 창안에 한몫했다는 혐의를 지우기 어렵다. 그의 일본어 창작의 동인은 역시 그가 지향하는 서구 문단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일본 문단에 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의 일본어 창작 중 『국민신보』에 연재되었던 <녹색탑>은 이효석의 평론에서 항상 보편으로 상정되었던 서구의 것과 내선일체 정책이 동시에 등장하는 흥미로운 텍스트이다. 『국민신보』는 총독부가 황국신민화이념을 널리 알리려는 목적으로 창간된 잡지임에도 불구하고, <녹색탑>에는 내선일체 정책의 하나인 내선결혼에까지 도달하는 과정을 그리면서도, 정작 제일 중요한 식민지/피식민지인이라는 의식을 등장인물들에게서 제거함으로써 내선일체의 내용은 모두 제거된다. 이효석의 <녹색탑>이 내선결혼을 그리고 있으면서도 내선일체 정책과는 거리를 둘 수 있었던 배경에는 영문학과 육체적 접촉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데 있다. 보편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두 장치는 내선일체 정책의 형식들을 채우는 내용으로 기능함으로써 결국 ‘내선일체 없는 내선일체’가 이효석 소설 안에서 형상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1940년에 절정을 이룬 이효석의 일본어 소설 창작은 그 이후 점차 시들해지더니 1942년에는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된다. 이는 그가 지향하는 서구문학을 전범으로 삼는 문학으로는 일본의 문단에서 ‘반도인으로서’ 활동할 수 없다는 사실의 자각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녹색탑>은 이효석이 지향하는 보편으로서의 ‘서구’라는 가치와 내선일체 정책 사이의 기이한 타협의 산물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ed through <錄の塔> in the context of Japanese literature written by Yi Hyosuk, and analyzed the effect of western symbol that was put on ideal by him. Although Yi Hyosuk criticized Korean authors who made ‘the color of Korean’ constrainedly, it is very difficult to erase the suspicious that he also cooperated it. The motivation that he created Japanese literature was participating Japanese literary world for approaching western literary world more closely. <錄の塔> that was published series is a very interesting text because it have two factors, assimilative policy by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value of western modernism. Even though the purpose of starting publication this journal by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broadcasting their imperial ideology, it failed to deliver their contents because Yi eliminated his characters’ identity as colonist/colonized. This result was caused by using English literature and body connection as a western modernism value.
    The Japanese literature written by Yi Hyosuk was peaked in 1940. However, after that, it became disappearing. It might be connected the truth that he could not create his pieces following western modern novel as a Korean author in Japan. In that sense, <錄の塔> was a curious compromised result between assimilative policy ans his ideal view of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