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納塔經典의 시대적 變遷考 (A Study on the Changes of Sūtras Enshrined in Stupa according to Perio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2.08
31P 미리보기
納塔經典의 시대적 變遷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2호 / 337 ~ 367페이지
    · 저자명 : 문상련

    초록

    필자는 「納塔經典의 시대적 變遷考」란 제목하에 삼국기로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탑에 경전을 納入한 枝提 건립 양상과, 시대에 따라 納塔經典이 어떻게 변이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음 내용을 밝혀 보았다.
    불교 公傳 이전인 4세기 초에 이미 造塔 사례가 보이는 바, 佛舍利의 한정으로 인해 불교 초전기로부터 한국에서는 주로 法舍利를 납입한 枝提가 건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여기서 法舍利란 경전을 말하는 것으로, 탑에 경전이 납입된 경우 造塔 규범을 전하는 경전 여하에 따라 納塔經典에 변이가 생겨남을 볼 수 있다. 또한 納塔經典의 경우 시대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어 백제의 경우 『금강반야경』이, 통일신라 초에는 「佛法身偈」가, 통일신라 중후반에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및 『불정존승다라니경』 등이 납탑됨을 볼 수 있다.
    또한 고려조의 경우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및 『불정존승다라니경』 규범에 따른 납탑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나, 주로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경』이 納塔되었음을 보게 된다. 이러한 예는 納塔經典에 따른 造塔의 시대적 선후를 가늠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또한 연대 미상 탑들의 조탑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규준이 되기도 할 것이다.

    영어초록

    Under the title of “A Study on the Changes of Sūtras Enshrined in Stupa according to Periods,” the investigator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patterns of caityas that enshrined sūtras in stupa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o Chosŏn dynasty and the changes of sūtras enshrined inside stupas according to perio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There were cases of building a stupa as early as in the early 4th century before Buddhism was formally transmitted to Korea.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arira, however, they usually built Caitya that enshrined Dharma-Sarira in Korea from the early days of Buddhism in the nation. Here, Dharma-Sarira refers to sūtra. When sūtras were enshrined in stupa, there were changes to the “sūtra enshrined in Stupa” according to the sūtras covering the stupa establishment norms.
    “Sūtras enshrined in stupas” varied in content according to periods. The examples of stup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Muwang(600∼641) of Baekje Kingdom show that they built Caityas that enshrined Vajracchedikāprajñāpāra mitā Sūtra as Dharma-sarira in stupas in the early 7th century.
    Ancient Shilla Kingdom started to build Stupas without sūtras but only sariras enshrined in them in 634. Afte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however, Shilla enshrined sūtras in stupas according to the sūtras norms that were the grounds for building a stupa. They enshrined Buddha-Dharmaśarīra-Gata in early Unified Shilla and Raśmivimalaviśuddhaprabhādhāraṇī Sūtra and Sarvadurgatipariśodha noṣṇīṣavijayadhāraṇī Sūtra in middle and late Unified Shilla.
    In Goryeo dynasty, they usually enshrined Sarvatathāgatādhiṣṭhānahṛdayaguhya dhātukaraṇḍamudrādhāraṇī Sūtra in stupas with some cases in which Raśmivimalaviśuddhaprabhādhāraṇī Sūtra and Sarvadurgatipariśodhanoṣṇīṣavijaya dhāraṇī Sūtra were enshrined in stupas. They also started to carve the content of Sarvadurgatipariśodhanoṣṇīṣavijayadhāraṇī Sūtra outside in the form of lakṣatā called dharani lakṣatā.
    In Joseon dynasty, they recorded the cases of building stupas and enshrining sūtras in Taejoshilok. One record says that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ūtras was enshrined in the five-story pagoda of Yeonbok Buddhist Temple in 1393.
    Those cases clearly show the changing patterns of sūtras enshrined in stupas from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to Buddha-Dharmaśarīra-Gata, Raśmi vimalaviśuddhaprabhādhāraṇīSūtra,Sarvadurgatipariśodhanoṣṇīṣavijayadhāraṇī Sūtra, and Sarvatathāgatādhiṣṭhānahṛdayaguhyadhātukaraṇḍamudrādhāraṇī Sūtra.
    The diversity of sūtras enshrined in stupas will offer grounds to make a chronological judgment of stupas and criteria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time of stupas whose establishment years are unkn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