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初 石塔의 塔身받침 造形特性에 관한 硏究 -塔身받침의 起源과 變化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of Stone pagoda's underpinning in the arly Koryo Dynasty. - focus on the beginning and transition of pagoda's underpinning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07.06
27P 미리보기
高麗初 石塔의 塔身받침 造形特性에 관한 硏究 -塔身받침의 起源과 變化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27호 / 601 ~ 627페이지
    · 저자명 : 홍대한

    초록

    한국의 탑파는 중국의 적층목조건축에서 영향을 받은 木造塔을 시원으로 하고 있으나, 잦은 兵禍로 인해 遺址는 그렇게 많지 않다. 고려에서는 황룡사 구층목탑을 본떠 개경에 칠층탑과 서경에 구층탑을 건립하였고, 조선 태조는 演福寺와 興天寺에 목조오층탑을 세우기도 하여 석탑과 함께 목조탑이 지속적으로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재로 목조탑의 세부를 충실히 번안한 미륵사지 석탑은 석탑양식 연구의 귀중한 자료인 동시에, 고대 목탑의 잔흔을 복원해 볼 수 있게 해 준다. 목조건축은 架構式 구조를 채택했기 때문에 부재 각각의 구성방식에 따라 전체건축의 평면과 입면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석탑에 있어 가구적인 요소는 옥개석과 기단부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 외에 탑신받침은 重層木造建物에서 層間을 연결하는 平坐構造에서 유래한 건축시설이다.
    탑신받침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목조건축과 석탑의 외형을 意匠的으로만 비교해 왔다. 초기 석탑을 제외한 전형석탑의 경우 구조적으로 단순화되어 목조건축의 요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일제시대 杉山信三의 주장 이래 난간의 변형이라는 일방적인 주장을 답습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중층목조건축의 層間連結 구조인 平坐에서 탑신받침이 기원했음을 현존하는 중국과 일본 목조탑의 사례를 통해 규명해 보았으며 연판장식 탑신받침이 출현이 화엄밀교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9세기부터 시작되고 있어, 편년 설정의 중요한 기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Korean pagoda based on a wooden pagoda which is influenced Chinese piled-floor pagodas, but there are only few relics that remain because of frequent war.
    The seven-stories pagoda in Gae-gyung(開京) and the nine-stories pagoda in Seo-gyung(西京) were built in the Koryo dynasty(高麗), which were made after the Hwang-Ryong Temple(皇龍寺) nine-stories wooden pagoda, and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朝鮮) built strucure of a construction work system five-stories wooden pagoda, the Heung-chun Temple(興天寺) five-stories pagoda.
    It shows that a wooden pagoda was built continuously in company with a stone pagoda. The Mireuk-sa temple stone pagoda(彌勒寺地 石塔) changed details of a wood with stone, which is not only precious data about style of stone pagoda studies, but also it can show made of remote age wooden pagoda which was reverted.
    Wooden construction architecture has a characteristic which affect on a plane(平面) and horizontality field of vision(立面) of a whole structure followed a constructive form of each architecture materials because it took a strucure of a construction work system.
    Except this, Stone pagoda's underpinning is the structure origined from Pyung-jwa(平坐, architecture word) structure which linked layer to double layer wooden building.
    The existing study of Stone pagoda's underpinning has compared with just an external form of a wooden structure and a stone pagoda in the only decorative way.
    In the case of typical stone pagoda except early one, there is a difficulty to find the element of a wooden structure because of a structural simplification.
    However, I think it is a following result of a one-sided view of Japanese Mr. Sang yamasinmiz(杉山信三) who insisted of a metamorphosis of a banister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manuscript, I studied Stone pagoda's underpinning was origined from Pyung-jwa(平坐, architecture word)which is the linking layer structure of duplex stratum wooden building through instances of existing chinese and japanese wooden pagoda.
    The appearance of Stone pagoda's underpinning with a lotus leaf decoration started in the 9th century, 'the period of gaining strength of Hwaum-Tantrik Buddhism(華嚴密敎)' so I could know it is the important standard of a chronicle establish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